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생글기자 코너] 외국인 이주자나 난민을 바라보는 편견 없는 시선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제노포비아(xenophobia)란 이방인이라는 ‘제노(xeno)’와 ‘싫어한다’라는 의미의 ‘포비아(phobia)’가 합쳐진 단어로, 외국인 혐오증을 뜻하는 말이다. 제노포비아는 대체로 자신과 다름을 이유로 시작되며 경기침체, 실업률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 혹은 범죄 원인을 이방인에게 전가하는 등의 행위로 표출된다.

한국은 국내 체류 외국인 수가 200만 명이 넘어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주노동자나 이주민에 대한 인식은 그리 곱지 않다. 지난해에는 500여 명의 예멘 난민들이 제주도를 찾으면서 국민들의 이주민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고, 이는 결국 제노포비아라는 결과를 낳아 사회적인 문제가 되었다.

실제 지난해 6월 13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제주도 예멘 난민법 폐지가 청원되었다. 한 달간 이뤄진 난민법 폐지 청원은 70만 명이 넘는 국민이 참여하며 화제를 모았다. 해당 청원으로 제주도 예멘 난민 수용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증폭됐고, 난민 수용에 대한 의견도 엇갈렸다.

난민법의 폐지를 외치는 단체 시위도 많았다. ‘한국은 외국인 범죄율 1위’와 같은 제노 포비아적 팻말들을 시위 곳곳에서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외국인 범죄에 대한 인식은 이주민들을 범죄자로 묘사하는 영화나 미디어 매체들도 일부 영향이 있다. 즉 ‘이주민은 잠재적인 범죄자’라는 제노포비아적 인식을 심어주었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의 외교 안보 전문 매체 포린 폴리시는 ‘난민 문제로 스트레스받는 한국’이라는 제목의 사설로 한국의 난민 대책을 지적하였다. 뉴욕타임스 사설 또한 한국의 예멘 난민 수용 반대 시위에 대해 보도하며 한국인의 태도를 부정적인 논조를 지적했다.

난민을 바라보는 시선은 엇갈린다. 자국인의 안전이나 일자리가 우선이라는 의견도 있고, 난민의 인권도 존중하고 그들을 보듬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난민의 수용에 앞서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시키는 것이 정부의 책무다. 하지만 이주민에 대해 맹목적인 부정적 인식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 예멘인 같은 난민 사태는 언제든 다시 불거질 수 있다.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고 난민이나 이주민들의 권리도 보장하는 지혜로운 대책이 필요하다.

지윤솔 생글기자(동두천외고 2년) hbh0430@naver.com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