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연기관 2030년에도 80% 이상 차지, 하이브리드는 현실적 대안
-전기 및 수소전기차는 핵심 기술 확보 인프라 투자 절실
강화되는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와 예측하기 어려운 정부의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포괄적인 파워트레인에 대한 기술 로드맵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정치 및 여론의 감상적인 기준으로 특정 동력에 치우치지 않도록 각 기술의 끊임없는 적합성 분석과 정부의 유연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
19일 서울 중구 패럼타워에서 열린 '자동차 기술 및 정책 개발 로드맵' 발표회에서 한국자동차공학회의 각 파워트레인에 대한 기술 전망과 한국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제언이 이어졌다.
김민수 서울대 교수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한국의 수소전기차산업에 대한 성장 가능성을 매우 높게 전망했다. 이에 따라 완성차 회사와 더불어 부품 기업의 효율적 연계와 긴밀한 네트워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 교수는 "내구성 높은 전극/촉매/담지체 기술과 가변압 공기공급시스템 모듈화 기술, 고압 수소저장용기 생산 기술 등 원천 기술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수소 충전소 인프라 확대 뿐 아니라 전문 인력 양성 등의 산업 기반을 갖출 수 있는 투자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황성호 성균관대 교수는 효율 규제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전기차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결국 전기차 관련 분야의 기술과 가격 경쟁력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것. 황 교수는 "모터와 인버터, 배터리, 공조시스템 등 전기차 핵심 기술의 국산화 뿐 아니라 희토류, 배터리 대체소재 등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가 절실하다"며 "특히 자율주행차 기술과 융합 연구를 통한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가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박영일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하이브리드차가 강화되는 효율과 온실가스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현실적인 해결 방안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하이브리드는 지난 2015년 대비 2030년에 이르면 23.3%에서 최대 80.2%까지 효율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했다. 박 교수는 "내연기관과 모터를 연결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구조에 따라 특화된 동력분배 제어기술이 개발되고 있어 향후 전동화 기술이 대부분의 내연기관차에 적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하이브리드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는 만큼 연구개발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배충식 카이스트 교수 또한 국내 실정에 맞는 포괄적이고 일관된 자동차 기술 로드맵 작성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자동차 기술 시나리오는 지역과 시기 뿐 아니라 상황에 따라 다양성과 변동성을 가진디는 것. 배 교수는 "감상적인 기준을 적용해 특정 기술에 인위적으로 치중되지 않도록 기술 적합성 분석 같은 과학적 도구가 꾸준히 개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기적으로 내연기관의 전동화와 후처리 장치, 하이브리드 기술에 투자하고, 장기적으로 신에너지 자동차의 핵심기술 개발 및 인프라 보급에 투자해야 한다는 얘기다.
한편, 이번 자동차공학회 발표는 최근 주목받는 미래 동력원에 대한 맹목적 지지가 아니라 내연기관을 포함한 현실적인 미래 동력원에 대한 고민을 학계가 통합적으로 모색해보자는 차원에서 마련됐다.
김성윤 기자 sy.auto@autotimes.co.kr
▶ 캐딜락, 볼륨 차종으로 우뚝 설 CT5 공개
▶ 뜨는 중량급 SUV, 무엇이 있나
▶ [人터뷰]떠오르는 부산 그리고 마세라티
▶ [하이빔]유럽이 쌍용차 코란도를 주목했다
▶ [人터뷰]"닛산 모빌리티 사회의 핵심은 사람"
김성윤 기자 sy.auto@autotimes.co.kr
▶ 캐딜락, 볼륨 차종으로 우뚝 설 CT5 공개
▶ 뜨는 중량급 SUV, 무엇이 있나
▶ [人터뷰]떠오르는 부산 그리고 마세라티
▶ [하이빔]유럽이 쌍용차 코란도를 주목했다
▶ [人터뷰]"닛산 모빌리티 사회의 핵심은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