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에 따라 올해부터 미국에서 생산해 들여오는 자동차의 관세가 4%에서 0%로 완전 철폐된다. 그러나 미국산이라고 가격이 모두 내리는 건 아니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7일 수입차업계에 따르면 올해부터 수입하는 미국산 승용차에는 관세가 붙지 않는다. 한·미 FTA에 따라 지난 2012년 8%에서 4%로 줄어든 후 단계적인 인하를 거쳐 4년만에 완전히 철폐하는 것. 그러나 수입차업체들은 다양한 이유로 판매가격을 내리지 않고 있다. 일부 업체만 변경한 가격을 고지하는 상황이다.
우선 미국 생산차가 많은 일본차업체들의 대응이 발빨랐다. 한국닛산은 알티마의 판매가격을 40만 원 인하했다. 인피니티 QX60은 150만 원 내렸다. 한국토요타자동차는 시에나를 기준으로 60만~70만 원 조정했다. 반면 혼다코리아는 가격을 인상했다. 지난해말 어코드와 파일럿 등 신차를 출시하며 FTA 관세 인하분을 미리 적용했는데, 올해 개별소비세가 환원되며 가격이 올랐다는 설명이다.
유럽 브랜드 중에선 BMW코리아가 미국에서 생산하는 X시리즈의 가격을 160만~290만 원 변경했다. 역시 미국에서 ML클래스 등 SUV를 생산하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아직 인하 소식이 없다. 1월에 들여오는 GLE는 무관세를 감안해 새로운 가격으로 책정키로 했다.
미국 브랜드들의 대응은 제각각이다. FCA코리아는 짚의 가격을 40만~120만 원 인하했다. 그러나 크라이슬러는 동결했다. 300C의 경우 캐나다 생산이고, 200은 출시부터 공격적인 가격정책을 도입해 내릴 여지가 없다고 해명했다. 포드코리아도 가격을 조정하려는 움직임이 없다. 대부분 지난해 하반기 출시한 신차들이어서 FTA 관세 인하분과 개소세 인하분이 맞물렸다는 이유다.
한·미 FTA 발효에 따라 가격인하를 기대했던 소비자들은 다소 실망하는 분위기다. 결국 FTA 발효를 체감하는 건 소비자가 아니라 기업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관세가 없어지긴 했지만 유통과정이 복잡한 데다 업체들이 그 동안의 환율변동폭 등을 보전하려다 보니 눈에 띌 정도로 판매가격이 인하되는 효과는 없다"며 "가격 책정은 각 업체들의 전략 및 정책과 연관된 일이어서 외부에서 개입하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오아름 기자 or@autotimes.co.kr
▶ [CES]토요타, 영화 트랜스포머 현실로 만든다
▶ [기획]국산차 내수전망①-현대차, 내실 다질 한 해가 될 듯
▶ 람보르기니, 새 판매사 'sqda모터스'로 영업임박
▶ 혼다코리아, 레전드·시빅 판매 잠정 중단...왜?
▶ 자율 이동, 하늘·땅·바다가 각각 다른 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