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78.97

  • 13.08
  • 0.47%
코스닥

840.43

  • 1.69
  • 0.2%
1/3

세월호특별법 사회적 합의 촉구, 각계 인사 62명 “국민의 요구”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세월호특별법 사회적 합의 촉구, 각계 인사 62명 “국민의 요구”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라이프팀] 시민단체, 종교계, 학계, 문화계 인사 62명이 세월호특별법 관련 사회적 대화를 촉구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7월28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세월호 특별법 제정의 사회적 합의를 위한 각계 원탁회의’를 열고 “벌써 15일째 접어든 세월호 유가족들의 목숨 건 단식을 더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며 “하루라도 빨리 특별법 제정을 합의하기 위한 사회적 대화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현재 알려진 세월호 특별법의 쟁점은 법을 만들려는 이유와 원칙을 공유한다면 해소될 수 있다”며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했다.

이들은 세월호 특별법에 의해 구성되는 특별위원회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부여하는 문제와 관련해 “대한변호사협회와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등 법률가 단체에서 이미 헌법상 체계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확인한 사항”이라며 “삼풍백화점과 성수대교 붕괴 등 반복된 참사를 막기 위해 전례 없는 조치를 해야 한다는 것이 국민의 요구”라고 주장했다.

또한 특별위원회 구성에 대해서는 “세월호 참사의 책임을 져야 할 정부와 여당이 특위 구성에서 과반의 추천권을 갖는 것은 가해자가 수사 주체가 된다는 의미로, 이는 세월호 참사를 망각하는 일”이라며 “유가족 피해자 단체에 반드시 위원 추천권을 부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도법 조계종 화쟁위원장, 박경조 전(前) 성공회 주교, 이윤배 흥사단 이사장, 김중배 전 MBC 사장, 최영도 전 국가인권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사진출처: MBN 뉴스 방송 캡처)

bnt뉴스 기사제보 life@bntnews.co.kr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