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83.27

  • 2.24
  • 0.09%
코스닥

727.41

  • 7.18
  • 0.98%
1/3

[칼럼]쌍용차, 소비자원 발표에 발끈한 배경은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쌍용자동차가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 소비자원의 발표에 회사가 심하게 멍들었다는 것. 

 발단은 최근 나온 소비자원의 '국산차 피해구제 신청 분석'이다. 소비자원은 지난 3년간 기관에 접수한 피해불만건수를 취합한 결과 쌍용차가 1만 대당 18.4건으로 가장 많았다고 발표했다. 3년간 판매실적은 12만6,563대로 적었지만 피해접수는 233건에 달했다는 점을 근거로 삼았다. 차종별로는 체어맨이 36건, 렉스턴이 45건, 코란도가 72건이다. 세 차종의 불만접수가 153건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쌍용차가 억울함을 토로하는 건 '차종'이다. 단순히 차종별로 집계할 경우 연식이 반영되지 않아 하나의 차명을 오래 지킨 회사일수록 불리할 수밖에 없어서다. 즉 2001년 나온 렉스턴과 현재 팔고 있는 렉스턴은 차명이 같지만 제품 자체가 다르다. 동일 차명으로 모두 72건을 접수한 코란도 또한 과거 코란도는 물론 지금 판매되는 코란도C도 포함했다. 이 경우 뒤늦게 새로운 차명을 도입한 차가 절대적으로 유리해지기 마련이다. 물론 소비자원은 다른 차종도 모두 하나의 브랜드로 분류한 만큼 기준 설정에 차별은 없었다고 해명한다. 

 쌍용차는 품질불만 감소 추세를 반영하지 않은 점도 지적하고 있다. 소비자원 발표에는 3년간의 접수가 모두 들어갔지만 대부분의 불만이 제기된 시기는 2011년이다. 지난 2009년 장기파업 등으로 한동안 서비스 부품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의 불만이 적지 않았다는 얘기다. 실제 소비자원 결과에 따르면 올해 1~8월 접수한 소비자 불만은 쌍용차가 1만 대당 9.2건, 한국지엠이 9.7건, 르노삼성 19.7건, 현대차 3.1건, 기아차가 3.7건이다. 지난해부터 서비스 부품을 제대로 공급하면서 불만이 크게 줄었다는 얘기다. 

 물론 소비자원의 발표 자체를 잘못으로 보기는 어렵다. 소비자들이 실제 접수한 사안을 집계했기 때문이다. 다만 소비자원은 3년이라는 기간을 정했고, 쌍용차는 회사의 특수성을 배제한 3년은 문제가 있다는 반박을 내놨을 뿐이다. 

 이 같은 해석 차이는 통계에서 비일비재하다. 어느 곳에 돋보기를 들이대느냐에 따라 해석이 천차만별 달라질 수 있어서다. 일례로 지난 2002년 국내 한 기관이 이혼율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도출된 이혼율은 47.4%였다. 숫자를 있는 그대로 해석하면 부부 두 쌍 중 한 쌍이 이혼했다는 의미다. 하지만 그 같은 결과는 2002년 이혼한 부부의 수를 같은 해 결혼한 부부의 수로 나눴을 때 나온 값이다. 만약 2002년에 결혼한 부부가 1만 명이고 이혼한 부부가 5,000명이라면 이혼율은 50%다. 그러나 2002년 이혼한 부부는 그 이전 결혼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논란이 일었다.  

 이번 소비자원의 발표에 쌍용차가 발끈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른바 어려운 시기를 견뎌낸 쌍용차의 특수성을 배제했다는 얘기다. 해당 시기를 제외하면 불만접수가 그리 많지 않았다는 게 쌍용차의 항변이다. 최근 상승세를 타고 있는 쌍용차로선 소비자원의 발표가 충분히 억울할만 했다는 게 업계 반응이기도 하다.  

 소비자원은 자료를 내면서 국산차 구매 때 제조업체별 하자 접수현황이나 차종별 불만건수, 교체가 빈번한 부품 수리비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 정보 제공 측면에서 그렇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렇게 본다면 앞으로 자료 해석의 차이를 감안할 필요도 있어 보인다. 그렇지 않을 경우 이번처럼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서다. 쌍용차의 항변은 이런 오해에서 비롯된 게 아닐까.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