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84.06

  • 7.99
  • 0.29%
코스닥

838.65

  • 3.47
  • 0.41%
1/2

두산, 스코틀랜드에서 글로벌 비즈니스 포럼

관련종목

2024-06-28 02:03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두산, 스코틀랜드에서 글로벌 비즈니스 포럼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박지원 부회장 "새로운 돌파구 찾아 목표달성·새롭게 도약"

    두산[000150]은 15일(현지시간) 스코틀랜드에서񟭐 두산 글로벌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했다고 17일 밝혔다.

    포럼에는 윌리엄 헤이그 전 영국 외무장관,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조지프 스티글리츠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 이창용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등이 참석했다.

    후안 미란다 아시아개발은행(ADB) 부총재, 대니 알렉산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부총재, 아미탑 칸트 인도 국가혁신기구(NITI) CEO, 펠리페 칼데론 글로벌기후변화경제위원회 의장(전 멕시코 대통령) 등도 참석했다.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은 개회사에서 "복잡한 환경에서도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비즈니스 리더들의 숙명"이라며 '순풍이 아닌 역풍이 불어올 때 연은 가장 높이 날 수 있다'는 윈스턴 처칠의 발언을 인용, "곳곳에 리스크요인이 많은 지금의 경영 환경을 극복하고 새롭게 도약하는 데 이번 포럼이 도움이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윌리엄 헤이그 전 장관은 특별연설을 통해 "정치적, 경제적 예측이 어렵고 변동성이 큰 시대를 맞고 있다"며 "이런 시기에 기업은 예측하지 못한 리스크에 즉각적이고 유연하게 반응하는 위기관리 체계를 만들고 장기적인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조언했다.

    전문가들은 포럼에서 아시아 지역의 인프라 개발에 대해 전망하고, 신 기후변화체제가 세계 경제와 인프라 산업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명했다.

    조지프 스티글리츠 교수는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을 주제로 한 첫 세션에서 "지금 세계경제는 수요부족에 따른 병적 상태(Great Malaise)에 놓여 있으며 이는 정치력 부재가 주요 원인"이라며 "정치력을 통한 구조 개혁이 이뤄져야 경제 성장이회복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프라에 대한 투자 확대, 기후변화에 맞춘 경제 체질 변화, 불균형 해소를 위한 투자 및 구조 개혁 등을 통해 글로벌 총수요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창용 국장은 "세계경제의 주요 성장 동력은 아시아"라며 "아시아는 수출 중심경제이므로 자유무역 기조가 제대로 지켜져야 지속 성장이 이뤄질 것이고 앞으로는내수 중심으로의 경제정책 전환도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후안 미란다 ADB 부총재와 대니 알렉산더 AIIB 부총재가 경제 불균형의 해결책으로 아시아 지역 인프라 사업의 투자를 제안하면서 "다자개발은행(MDB)이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세션에서 펠리페 칼데론 의장은 "신재생 에너지 생산 비용이 많이 내렸고 기업이 시장에 들어갈 경제성이 충분해졌다"며 "시장이 활성화 되려면 기술, 비즈니스 모델, 금융, 정책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yjkim84@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