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64.73

  • 19.53
  • 0.7%
코스닥

841.52

  • 11.15
  • 1.31%
1/3

<'한국 섬유산업의 큰별' 이동찬 코오롱 명예회장>

관련종목

2024-06-24 22:17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국 섬유산업의 큰별' 이동찬 코오롱 명예회장>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8일 별세한 이동찬 코오롱그룹 명예회장은 국내 '섬유 종가'로 불리는 코오롱그룹을 세운 주역이다.

    창업주인 이원만 선대회장이 1935년 일본 오사카에서 모자 사업을 시작할 때 당시 15세였던 이 명예회장은 일본으로 건너가 공부를 하면서 아버지의 사업을 돕기시작했다.

    해방 후 이 창업주는 일본 사업을 정리하고 귀국한 뒤 정계에 진출했으며 이 명예회장은 경찰이 돼 잠시 공무원 생활을 하기도 했다.

    이후 이 창업주는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1951년 삼경물산이란 무역회사를 세우며 나일론 사업에 뛰어들었다. 건강 문제로 경찰을 그만둔 이 명예회장은 1954년 삼경물산 서울사무소를 맡아 운영하면서 사업에 복귀했다.

    한국전쟁 이후 나일론 수요가 급증하자 이 명예회장은 부친을 도와 1957년 대구에 코오롱그룹의 모태인 한국나일론을 설립하고 국내 첫 나일론 공장을 건설하면서국내 화학섬유시대를 열었다.

    이후 이 창업주는 숙원이던 정계에 다시 진출했고 이 명예회장은 1977년 삼촌이던 고 이원천 코오롱TNS 전 회장에 이어 코오롱그룹 대표에 취임했다.

    이때 한국나일론은 한국포리에스텔과 합병하면서 상호를 '코오롱'으로 바꾸고새롭게 출발했다.

    이 명예회장은 취임 후 적극적인 연구개발(R&D) 투자로 기술혁신에 속도를 냈다.

    그 덕분에 코오롱[002020]은 1980년대 필름·산업자재로 사업 영역을 넓혔으며,1990년대 초극세사를 이용한 고부가가치의 첨단 섬유제품을 개발했다.

    이 명예회장은 1996년 장남인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에게 경영권을 넘겨줄 때까지 20년 가까이 코오롱그룹을 이끌며 국내 섬유산업을 주도했다.

    이 명예회장은 2세대 경영자지만 창업주인 부친을 도와 창업 초기부터 회사의기틀을 다져 재계에서 창업 1.5세대로 불리기도 한다.

    abullapia@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