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6.52

  • 1.08
  • 0.04%
코스닥

839.98

  • 7.99
  • 0.96%
1/2

사용후핵연료 토론…"정확한 정보 공유가 우선"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사용후핵연료 토론…"정확한 정보 공유가 우선"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사용후핵연료의 안전한 처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토론회에서 정확한 정보를 국민과 공유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지적이 잇따랐다.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는 12일 서울 남대문로 대한상공회의소 의원회의실서제2차 토론회를 개최했다. 위원회 측은 지난 6월 제1차 토론회를 시작으로 전문가토론회, 국회 토론회 등을 연이어 개최하며 여론 수렴 활동을 벌이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노성래 한국수력원자력 원전사후관리실장은 사용후핵연료 저장 현황을 소개했다. 현재 원전에서 나온 폐연료봉은 각 원전 부지 내에 있는 임시저장 시설에 담겨 있는데, 2016년부터 단계적으로 포화 상태에 이른다.

노 실장은 "임시저장 시설의 용량을 확장하는 방편 등을 쓴다면 포화시점을 늦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장 포화시점이 빨리 오는 고리원전은 2016년에서 2028년으로, 한빛원전은 2019년에서 2024년으로 늘어나는 등 대체로 2024년까지는 버티게 할 수 있다는 얘기다.

두 번째 발제자인 이재근 경주YMCA 원자력아카데미 원장은 사용후핵연료의 저장문제를 놓고 당국이 제공하는 정보가 불명확하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임시저장 시설의 포화 시기를 2016년에서 2024년까지 고무줄처럼 잡아 놓으면 안 된다"며 "시간에 쫓기지 말고 국민과의 소통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말했다.

아울러 "일각에서는 폐연료를 재처리·재활용할 수 있는 진보적 기술이 등장할가능성을 기대하고 있지만 지하 깊은 곳에 폐연료를 묻는 영구처분 시설을 염두에두고 공론화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냈다.

김해창 경성대 환경공학과 교수도 토론문에서 "폐연료 처리 방안이 중간저장 시설을 세우는 데서 그치면 임시방편에 불과하며 영구처분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가세했다.

김 교수는 사견을 전제로 "핵드라이브 정책을 계속 펼 게 아니라 탈핵 에너지정책을 마련하는 게 최선의 방법"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안전한 임시저장이 어느 정도까지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며 이 부분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교수는 "2024년까지 임시저장 기간을 늘릴 수 있다는 게 원전 설계수명만 고려한 것인지 수명 연장까지 감안한 것인지 궁금하다"며 "만약 안전하게 연장할 수있다면 그 증거를 투명하게 제시하고 좀 더 여유 있게 공론화를 진행하는 게 적절하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prayerah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