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에서 지진, 태풍 등 자연재해와유행성 질병의 위험이 커짐에 따라 국내 보험사들이 대재해채권(catastrophe bond)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석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9일 보고서에서 "대재해채권은 보험사가인수능력을 초과하는 위험을 자본시장에 전가하기 위한 수단"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대재해채권은 보험사가 정상적인 상황에서 보상하기 어려운 재해의 손실 위험에 대한 보험료 자산과 보험금 채무를 특수목적회사(SPC)로 이전하고 SPC는 이를 기반으로 시장금리보다 높은 이율의 채권을 발행하는 것을 말한다.
미국, 유럽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대재해채권이 활성화됐다.
대재해채권 발행잔액은 1990년대 중반에는 세계적으로 10억 달러 정도에 불과했지만 최근 급증세를 보이면서 작년 말 현재 720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 연구위원은 대재해채권이 국내 장기채권시장을 활성화하는 효과를 낼 것으로기대했다.
2013∼2015년 대재해채권의 연평균 수익률은 7.0%로 다른 금융투자자산보다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았다.
아울러 이 연구위원은 "대재해채권이 도입·활성화되면 민영보험사와 자본시장의 역할이 커짐에 따라 자연재해의 손실보상을 위한 정부의 재정부담이 경감될 수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2010∼2014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자연재해 피해복구액 중 정부재정 부담률은연평균 81.3%에 달했다.
2006년부터 작년까지 10년 간 우리나라에서 자연재해에 따른 경제적 손실액은약 5조5천억원(연평균 5천477억원)이다.
이 기간 피해복구비용은 10조8천억원, 사망자 수는 218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noja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