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42.51

  • 24.67
  • 1.02%
코스닥

675.92

  • 14.33
  • 2.17%
1/4

'나 홀로 가구'가 대세…1인 가구, 520만 시대(종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기사 제목을 수정하고 역대 주된 가구유형 변화를 추가합니다. 뒤에서 15번째 문장 ' 지난 5년간 가장 많이 가구가 늘어난 곳'을 '지난 5년간 가구 증가율이 가장높은 곳'으로 바로잡습니다.>>4인 가구는 25년새 10%p '뚝''늙어가는 가구주' 중위연령 50세 첫 돌파

1명으로 구성된 '나 홀로 가구'가 가파르게 늘면서 가장 흔한 가구로 자리 잡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가구원 수가 줄고 가족끼리 따로따로 사는 경향이 짙어진 탓이다.

교과서에서 흔히 보던 아버지, 어머니, 자녀 두 명으로 구성된 4인 가구는 이제1인, 2인, 3인 가구보다 더 드물게 됐다.

고령화 추세에 따라 가구주의 나이는 처음으로 50세에 진입했다.

평균 연령이 긴 여성이 남편을 사별하고 혼자 사는 경우가 늘면서 여성 가구주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었다.

◇ 흔해진 '나 홀로 가구'…1·2인 가구가 절반 이상 7일 통계청이 발표한 񟭏 인구주택총조사'를 보면 지난해 평균 가구원 수는 2.53명으로 직전 조사인 2010년 2.68명보다 0.15명 감소했다.

평균 가구원 수는 1990년 3.77명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해 2005년 2.88명으로 3명미만으로 떨어지더니 2명 중반대까지 줄어들었다.

나 홀로 가구 비중도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를 보인다.

지난해 1인 가구는 520만3천 가구로 전체(1천911만1천 가구)의 27.2%를 차지, 2010년 23.9%보다 3.3%포인트 증가했다.

1인 가구는 2인 가구(499만4천 가구·26.1%), 3인 가구(410만1천 가구·21.5%),4인 가구(358만9천 가구·18.8%)를 제치고 가장 흔한 가구가 됐다.

반면 5인 이상으로 구성된 가구는 122만4천 가구로 6.4%에 그쳤다.

1인 가구 비중은 1990년 9.0%에 불과했다가 이후 빠르게 늘었다.

당시까지만 해도 4인 가구(29.5%)와 5인 이상(28.7%)이 전체 가구의 60%에 육박할 정도였다.

이에 따라 가장 주된 가구유형도 점차 변화됐다.

1990년부터 2005년 조사까지는 4인 가구가 가장 흔했지만 2010년엔 2인 가구(24.6%)로 바뀌었고 5년 만에 1인 가구가 가장 주된 가구가 됐다.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31.2%)이었고 인천(23.3%)이 가장 낮았다.

1인 가구 중에선 30대가 18.3%(95만3천 가구)로 가장 높았다. 그다음이 70세 이상(17.5%·91만 가구), 20대(17.0%·88만7천가구)였다.

남성(49.8%·259만3천가구)과 여성 1인 가구(50.2%·261만 가구) 비중은 비슷했다.

남성에서는 30대(23.5%)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았고 여성에서는 70세 이상(27.6%)이었다.

하봉채 통계청 등록센서스과장은 "1인 가구는 여성 등 경제활동하는 인구가 많아지면 자연적으로 늘어난다"며 "대학생이 되면 타지로 유학을 많이 가는 점도 1인가구가 늘어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 가구주 중위연령 50세 진입 2015년 11월 1일 기준 총가구는 1천956만603가구로, 2010년 1천796만3천816가구보다 8.9% 증가했다.

가족 등으로 구성되거나 5인 이하인 일반가구는 1천911만1천30가구로 8.2% 증가했다.

남남끼리 함께 사는 6인 이상의 가구를 뜻하는 집단 가구는 1만6천464가구로 1.

6% 감소했고 외국인으로만 구성된 외국인 가구는 43만3천109가구로 48.6%나 늘었다.

가족끼리 따로 사는 경우가 늘고 소가족이 증가하면서 가구의 증가율(8.9%)이인구 증가율(2.7%)보다 가팔랐다.

전체 가구의 48.7%인 951만9천 가구는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 살고 있었다.

수도권 거주 가구는 5년 조사 때보다 8.8% 늘었다.

특별시·광역시에 사는 가구는 893만9천 가구로 7.8%, 도 지역은 1천62만2천 가구로 9.9% 늘었다.

시·도 중에선 경기에 사는 가구가 453만8천 가구로 가장 많았고 서울 391만5천가구, 부산 134만8천 가구 순이었다.

지난 5년간 가구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인구 유입 속도가 가파른 제주(17.8%)였다.

시·군·구로 보면 경기 수원시에 거주하는 가구가 44만5천 가구로 가장 많았다. 수원시 거주 가구는 가장 적은 가구가 사는 경북 울릉군(4천 가구)보다 111배나많았다.

수원시는 지난 5년간 5만7천 가구가 늘어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인 곳이기도했다.

반면 충남 공주시는 인근 세종시로 이탈하는 인구가 늘면서 가구 감소 폭(-3천가구)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가구주는 빠르게 고령화, 여성화되고 있었다.

가구주의 중위연령은 50.8세로 2010년(48.3세)보다 2.5세 늘었다. 가구주 중위연령이 50세를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여성 가구주 비율도 점차 늘어 29.6%로 3.0%포인트 늘었다. 1990년(15.7%)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확대된 것이다.

가구주 연령별로 가구원 수를 분석해보면 40대 미만 가구주에게선 1인 가구가주를 이뤘고 40대 가구주는 4인 가구가 32.2%로 가장 많았다. 60대 이상 가구주에서는 2인 가구가 41.1%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는 전체의 48.1%(919만7천 가구)로 5년 전보다 2.0%포인트 늘었다.

단독주택 거주비율은 35.3%(673만9천 가구)로 3.3%포인트 감소했다.

한편 귀화자·외국인이 한국인과 결혼해 이룬 다문화가구는 29만9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1.6%를 차지했다.

다문화가구를 이룬 가구원을 국적별로 보면 한국계 중국인 10만3천명(35.1%),베트남 6만1천명(21.1%), 중국 5만9천명(20.3%) 순으로 많았다.

결혼 이민자 중에선 베트남 국적의 외국인이 3만9천명(26.9%)으로 가장 많았다.

귀화자의 경우 이전 국적이 한국계 중국인인 내국인이 7만4천명(49.8%)로 절반에 달했다.

porqu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