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64.59

  • 27.46
  • 0.98%
코스닥

843.55

  • 1.43
  • 0.17%
1/3

3월 외환보유액 3천628억弗…두 달째 증가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3월 외환보유액 3천628억弗…두 달째 증가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두 달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은 지난 3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이 3천627억5천만 달러로 한 달 전보다3억8천만 달러 늘었다고 3일 밝혔다.

외환보유액은 작년 7월 3천680억3천만 달러를 정점으로 줄기 시작해 올해 1월에는 3천621억9천만 달러까지 감소했다가 2월(3천623억7천만 달러)부터 증가세로 돌아섰다.

작년 7월 이후 외환보유액 감소는 미국 달러화 강세로 보유 외화자산 가운데 유로화, 파운드화 등의 달러화 환산 가치가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성광진 한은 국제총괄팀 차장은 "지난달에도 유로화 등이 약세를 보여 해당 통화표시 자산의 달러화 환산액이 감소했지만, 외화자산 운용 수익이 늘어나 외환보유액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3월 중 유로화는 미국 달러화에 대한 가치가 3.3% 떨어졌고 파운드화(-3.9%), 엔화(-0.6%), 호주 달러화(-1.9%)도 달러화에 대해 평가절하됐다.

지난 3월 외환보유액을 자산 유형별로 보면 전체의 91.1%를 차지한 국채, 회사채 등 유가증권이 3천305억5천만 달러로 전월보다 20억1천만 달러 줄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인 SDR(31억3천만 달러)와 IMF에서 교환성 통화를 수시로 찾을 수 있는 권리인 IMF포지션(14억9천만 달러)도 각각 7천만 달러, 3억8천만 달러 감소했다.

이에 비해 예치금(228억 달러)은 28억4천만 달러 늘었다.

금 보유액은 전월과 같은 47억9천만 달러(장부가)어치다.

올해 2월 기준으로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7위 수준이다.

러시아(3천602억 달러)가 6위에서 8위로 밀려났지만 외환보유액이 8억 달러 증가한 브라질(3천625억 달러)이 8위에서 6위로 올라섰기 때문이다.

중국(3조8천430억 달러), 일본(1조2천511억 달러), 사우디아라비아(7천142억 달러), 스위스(5천833억 달러), 대만(4천178억 달러) 등 5위권내 국가는 순위 변동이없었다.

ev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