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F·수시입출식예금 등에 자금 몰려
지난 9월 시중 자금의 단기화 정도가 3년6개월래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투자처 등 갈곳을 찾지 못한 자금들이 금융시장을 떠돌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융권에 풀린 총유동성(Lf·평잔 기준) 가운데 인출이자유로워 사실상 현금에 준한 예금인 수시입출식예금과 현금 등을 합친 협의통화(M1)가 차지하는 비율인 자금 단기화 수준은 지난 9월 19.9%에 달했다.
이는 지난 2011년 3월 20.0% 이후 3년6개월만에 최고 수준이다.
자금 단기화 비율의 상승은 예비적 동기로 보유하는 통화가 늘었다는 의미여서자금이 실물경제로 흘러들지 않는 경향도 반영한다.
이 비율은 리먼사태가 발생한 2008년 9월 16.8%에서 2011년 2월 20.1%까지 오르고서 하락세로 전환해 2012년 9월 18.2%까지 떨어졌으나 그 이후 기준금리 하락 등을 계기로 단계적으로 올라 현 수준까지 상승했다.
최근 자금의 단기화 경향 역시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로 시중 유동성은 늘었지만투자 등 실물경제의 수요로 이어지지 않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한은이 지난 8월과 10월에 기준금리를 내리면서 시중 유동성은 늘고 있지만 단기성 금융상품에 상대적으로 많은 돈이 흘러들고 있다.
기업 등이 보유한 단기 자금이 모이는 머니마켓펀드(MMF)에는 지난 10월 한달간10조원 가량의 자금이 순유입됐으며 결국 이달 6일 설정액(100조9천689억원)이 5년여만에 100조원대로 올라섰다.
신동준 금융투자협회 부장은 "MMF가 추세적으로 늘어나는 배경은 부동자금 증가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의 수시입출식 예금도 꾸준히 늘고 있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수시입출식 예금의 증가액은 26조7천억원으로 전체 은행 수신 증가액(42조4천억원)의 63.0%에 달했다.
심지어 대표적인 저축상품인 정기예금도 1년미만 가입액 비중이 지난 9월에는 26.0%로 10개월래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다.
저금리가 장기화되면서 장기 금융상품에 돈을 묵혀두느니 환금성이 높은 단기상품에 돈을 넣어두고 향후 추이를 보려는 경향 때문에 장기금리가 단기금리에 역전되는 일도 잦다.
3년물 국고채는 올해 7월2일∼8월13일, 9월24일∼10월13일, 10월30일∼11월10일등 3차례에 걸쳐 91물 양도성예금증서(CD)보다 수익률이 낮게 형성됐다.
대표적인 자금 흐름 지표인 통화승수도 이례적으로 낮은 수준에서 지속하고 있다. 통화승수는 높을수록 금융회사들이 고객을 상대로 신용 창출을 활발히 했다는의미를 갖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본원통화에 대한 광의통화(M2)의 배율로 산출된다.
월별 통화승수(평잔 기준 본원통화 대비 M2)는 작년 12월 19.9배로 16년10개월만에 처음 20배 밑으로 하락하고서 올해 들어서는 18.9배로 하락한 8월을 빼고는 계속19배 수준을 나타냈다.
한은은 금융위기 이후 전세계적인 안전자산 선호 경향에 5만원권의 발행까지 겹치면서 현금보유 성향이 강화된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해석하지만 외부의 시각은꼭 그렇지만은 않다.
심지어는 유동성 함정의 우려까지 제기된다. 유동성 함정은 단기 부동자금이 급증해 실물경제로는 자금이 흘러가지 않으면서 통화정책의 효과가 무력화되는 현상을의미한다.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아시아금융학회장)는 "돈을 공급해도 실물경제 수요가없는 현 상황은 유동성 함정의 초입 단계로 해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은은 유동성 함정 우려는 부인한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0월 기준금리 인하 결정후 연 기자간담회에서 "통화정책 파급효과가 내·외수 불균형, 대·중소기업 불균형 등 구조적인 요인에 의해약해졌을 수는 있다"면서도 "기준금리 인하의 파급효과가 어느 정도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ev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