印尼·필리핀·베트남 등지 은행·캐피탈·소액대출 겨냥당국, 해외진출 전략·조직·인사 가이드라인 마련키로
국내 금융지주사들이 시장 규모2천조원의 동남아시아로 '금융영토' 확장에 속도를 낸다.
8개국에서 현지 은행, 할부금융사 등의 인수·합병(M&A)을 추진하거나 현지 법인 설립을 추진한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지주사들은 올해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러시아 등에서 현지 금융기관 M&A에 본격 착수한다.
우리금융그룹과 하나금융그룹은 필리핀과 인도네시아의 할부금융사(캐피털사),소액대출 금융회사(마이크로 파이낸스) 같은 비(非)은행 금융기관 인수를 검토한다.
하나금융이 먼저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에서 M&A 가시권에 들었다. 최근인도네시아의 하나·외환은행 통합법인도 당국 승인을 받았다.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은 "자동차가 잘 팔리는 인도네시아에 캐피털을 두고, 베트남도 우리나라와 정서가 맞아 (진출할 만하다)"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시장에선 우리은행도 최근 사우다라은행을 인수한 데 이어 신한금융그룹의 현지 은행 메트로익스프레스 인수가 올해 승인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동남아의 M&A 대상 금융기관 명단을 놓고 인수전 참여를 저울질 중이다"라고 말했다.
필리핀의 경우 하나금융이 국내 금융권에서 유일하게 현지 지점을 둔 외환은행이 계열사라는 점에서 가장 진출에 유리한 상황이다.
우리금융[053000]도 필리핀의 현지 은행, 할부금융, 저축은행 등을 놓고 인수를타진하고 있다.
우리은행 고위 관계자는 "올해부터 동남아 시장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M&A는은행에 국한된 게 아니라 비은행도 가능성을 열어놨다"고 밝혔다.
중국에선 하나금융이 올해 3월께 '그림자 금융' 양성화 입법을 기다려 현지 민생·길림은행과 합작법인 설립을 추진한다.
하나금융은 러시아에서도 현지 은행 인수를 추진 중이다. 북아프리카에는 우리금융과 하나금융이 HSBC, 바클레이즈 등 글로벌 은행과 합작 진출한다.
단기간에 승부를 내는 M&A 대신 '현지 사무소→지점→법인'으로 점차 영역을 확장하는 움직임도 활발해진다.
우리금융은 베트남의 지점들을 현지 법인으로 전환하고 미얀마,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리트 사무소는 지점으로 키울 계획이다.
KB금융그룹은 중국 상하이(上海) 분행(分行·지점) 설치와 동남아 진출을 병행추진하고 있다.
금융지주들이 앞다퉈 해외로 진출하는 것은 포화상태에 이른 국내 시장의 한계,저금리 기조에 따른 수익성 악화 때문이다.
특히 한국에 견줘 금융시스템이 낙후하고, 그만큼 발전 가능성이 큰 동남아에진출 지역이 집중되고 있다.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싱가포르·태국·베트남·필리핀·캄보디아·라오스등 8개국의 금융시장 규모(은행 신용)는 2012년 1조9천700억달러(2천100조원)이다.
시장 규모는 2009년보다 64.3% 급팽창했다. 같은 기간 경상 GDP(국내총생산)도 51.2% 성장, 시장의 잠재력도 높다.
김정태 회장은 "국내의 경쟁은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한동우 신한금융 회장도베트남 진출을 기반으로 비은행 부문의 신흥국 개척 방향을 제시했다.
다만, 외국 자본에 대한 정서적 반감과 인·허가의 어려움을 극복해야 한다. 단기간에 수익을 내기 어렵고, 비리나 부실 우려도 적지 않다.
금융권 관계자는 "동남아는 신용평가 모델이 덜 발달해 분명히 리스크가 있다"며 "과실을 얻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을 감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은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해외 진출을 위해 조직·인력 운영의 가이드라인을 올해 상반기 중 마련할 계획이다.
한국 기업이 해외에 투자할 때 금융회사가 함께 나가도록 현지 금융당국과 '패키지 딜'을 하는 방안도 은행연합회와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만들고 있다.
zhe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