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광종 < 중국인문경영연구소장 >
두 글자 모두 술을 따라 마시는 일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정확하게 구분도 한다. 상대에게 술을 따를 때 잔을 덜 채우면 斟(짐)이다. 그에 비해 찰랑거릴 정도로 채우는 일을 酌(작)이라고 했다.
그 둘의 중간 수준에서 술을 따르면 안성맞춤이다. 따라서 ‘짐작’은 술을 남에게 잘 따라주는 일, 나아가 상대를 고려하는 행위, 사안의 경중(輕重)을 헤아리는 작업, 상대 또는 상황을 체크하는 능력 등을 가리키는 단어로 자리 잡았다.
그로써 단어가 지닌 큰 뜻은 헤아림, 살핌 등이다. 모두 신중을 요한다. 일을 서둘러 그르치거나, 완고하게 자신의 입장만을 내세워 상황을 망치는 일을 경계하자는 의미도 담겨 있다. 그래서 우리는 상황의 전모 또는 속내를 미리 헤아릴 때 이 말을 자주 쓴다.
수작(酬酌)이라는 말도 있다. 앞의 글자 酬(수)는 술을 권하는 행동, 뒤의 酌(작)은 술을 마시는 동작이다. 따라서 ‘수작’은 술잔을 서로 주고받는 일이다. 나아가 상대를 헤아리며 교제하는 행위, 더 나아가 아예 나쁜 뜻으로 “무슨 수작이냐”고 할 때의 그런 나쁜 행동이나 꾀 등을 가리키기도 한다.
이런 맥락을 이해하면 ‘짐작’이나 ‘수작’의 원래 뜻은 헤아림이 큰 줄기라는 점을 알 수 있다. 깊이있게 헤아리며 상황을 살피고, 때로는 상대의 사정까지 감안해 서로의 차이를 좁힌다는 뜻이다. 교섭(交涉), 그리고 타협(妥協), 아울러 머리를 맞대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상의(相議)의 개념이 모두 들어 있다.
그러나 우리는 ‘짐작’을 상대 의중에 담긴 나쁘고 음흉한 의도를 읽는 작업, ‘수작’을 제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남을 불길하고 어두운 쪽으로 끌어들이는 나쁜 꾀 정도로만 읽고 있는 것은 아닌지 궁금하다.
나라 살림을 지탱하는 근간인 경제가 급격하게 기울어가는 분위기인데 여야(與野)가 만들어내는 골은 깊어만 가니 품을 수밖에 없는 의문이다. 대립만 일삼지 말고 술자리라도 마련해 ‘짐작’하고 ‘수작’하면서 헤아림의 뜻을 깊이 새길 때 아닐까. 지금껏 가르고 쪼개는 일을 주도했던 여권이 먼저 만들어볼 술자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