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료 '쥐꼬리'
단말기 바꿔줄수록 손해
새 QR 방식으로 설치비 증가
가맹점 늘수록 손해 보는 구조
업그레이드비·관리비까지 부담
[ 박진우/김순신 기자 ] 편의점 제로페이에 참여하는 밴(VAN·부가가치통신망)사가 진퇴양난의 처지에 몰렸다. 편의점 프랜차이즈 시장을 고려해 제로페이 사업에 참여했지만 수수료 수익이 너무 낮아 보급에 나설수록 수익성이 악화되기 때문이다. 나이스정보통신, KIS정보통신 등 밴사가 수익성을 고려해 가맹점 확보에 미온적으로 나설 경우 제로페이 확산에도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밴 수수료는 전체의 10%”
6일 서울시와 밴 업계에 따르면 밴사가 제로페이에서 가져가는 수수료율은 매출 8억원 이하 0%, 8억~12억원 0.03%, 12억원 초과는 0.05% 수준이다. 전체 수수료율의 10%인 셈이다. 나머지 수수료는 결제사와 은행이 가져간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업 참여 때부터 밴사가 전체 수수료의 10%를 가져가기로 잠정적으로 합의했다”며 “조만간 참여 업체들과 정식 계약을 맺을 것”이라고 말했다.
밴사가 제로페이 사업에 들어오게 된 건 중소벤처기업부가 빠른 결제를 위해 소비자용 QR코드를 도입하면서다. 손님이 직접 은행 앱(응용프로그램)에 로그인하고 QR코드를 찍어 결제금액까지 입력하는 기존 방식이 불편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이에 중기부는 가맹점주가 소비자의 휴대폰에 뜬 소비자용 QR코드를 찍으면 바로 결제가 되는 방식으로 바꿨다. 이 소비자용 QR코드를 쓰려면 점포마다 밴사가 포스(POS·판매시점정보관리)를 업그레이드해서 제로페이와 연동해야 한다. 중기부는 지난 1일부터 GS25와 CU 등 전국 4만3171개 편의점 매장에 소비자용 QR코드를 도입했다.
‘딜레마’에 빠진 밴 업계
밴사는 가맹점의 포스를 업그레이드하면 할수록 수익성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편의점에서 일반적인 신용카드로 결제할 경우 밴사는 결제액의 약 0.11%(매출 5억~10억원 점포 기준)를 수수료로 받는다. 그러나 포스를 업그레이드해서 제로페이를 보급하면 수수료는 많아야 0.05%다.
밴사 관계자는 “소비자용 QR코드를 도입한 편의점은 대다수 점포 매출이 연 8억원 이하라서 수수료가 아예 없다”며 “제로페이 보급에 나설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라고 말했다.
정부가 포스 업그레이드 지원금으로 인건비도 안 되는 금액을 책정한 것도 불만이다. 밴사 관계자는 “소비자용 QR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국산 포스 값은 15만~25만원”이라며 “정부는 QR코드 리더기 비용 2만원에 업그레이드 비용 2만원을 주겠다고 하는데 이 정도로는 인건비도 안 된다”고 말했다. 포스 관리비용까지 부담해야 하는 밴사로서는 굳이 손해를 봐가며 소상공인 점포의 포스를 업그레이드해야 할 이유가 없다는 분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그러나 “이미 19개 밴사가 소비자용 QR코드 방식의 제로페이 결제시스템 구축에 참여했다”며 “일부 밴사가 이탈하더라도 사업 지속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VAN(부가가치통신망)
전기통신 사업자에게 전용회선 등의 설비를 임차해 신용카드 조회 등 부가가치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 이 같은 부가가치통신 서비스는 기존의 통신사업자에게 전용회선을 빌려 부가기능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통상 유료로 운영된다.
박진우/김순신 기자 jw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