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금저축 가입자들이 한 달에 받은 평균 연금액이 26만원으로 집계됐다. 국민연금 수령액을 더해도 한달에 61만원에 불과해 1인 최소 노후생활비에 크게 못 미쳤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연금저축 적립금 증가율은 은행 연금저축신탁 신규 가입 종료 등의 여파로 전년 대비 절반 수준에 그쳤다. 9일 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8년 말 연금저축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연금저축 가입자 작년 수령액 월평균 26만원 그쳐
지난해 연금저축 가입자의 연금수령액은 2조6384억원으로 전년 대비 23.9% 증가했다. 계약당 연금수령액은 연간 308만원으로 3.2% 늘었다.
계약당 월평균 연금수령액은 26만원으로 전년(25만원)보다 1만원 늘어난 셈이다.
그러나 국민연금 수급자의 월 평균 연금액이 35만원(지난해 11월 기준)인 점을 고려하면 국민연금과 연금저축에 동시에 가입했더라도 노후에 받는 연금액이 월 61만원에 그쳤다고 금감원은 분석했다. 이는 국민연금연구원이 산출한 1인 기준 최소 노후 생활비 104만원(2017년 기준)의 59%로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또한 가입자 중 대다수가 생활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는 수준의 연금을 지급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수령액이 500만원 이하인 계약 비중이 80.6%에 달했다. 한 달에 20만원도 못 받는 연간 수령액 200만원 이하 계약도 전체의 절반(51.3%)을 상회했다.
한 달에 100만원 이상을 받을 수 있는 연간 수령액 1200만원 초과 계약은 2.4%에 불과했다. 연간 수령액 500만∼1200만원의 비중은 17.1%로 집계됐다.
연금수령 방식을 보면 기간이 정해진 확정기간형으로 연금을 받는 가입자가 전체의 65.4%를 차지했다. 그러나 확정기간형 계약의 평균 연금수령기간은 6.8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금수령 최소기간인 5년을 선택한 계약도 59.2%로 절반이 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연금저축의 계약당 연금 수령액은 26만원으로 노후 대비 수단 측면의 기능이 여전히 미흡했다"며 "다만 수령기간 10년이 넘는 계약 비중이 전년 대비 0.7%포인트 늘어난 9.8%를 기록하는 등 장기 분할 수령을 통해 노후에 대비하려는 인식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 작년 연금저축 적립금 증가 4.9% 그쳐…해지계약이 신계약보다 많아
지난해 연금저축 적립금과 가입자 수 증가세는 전년 대비 둔화됐다. 신규 계약 건수가 감소해 해지계약 건수를 밑돌았다.
지난해 말 연금저축 적립금은 135조2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9% 증가했다. 연간 적립금 증가율은 2017년(8.8%) 대비 절반 수준에 그친 수준이다.
지난해 말 연금저축 가입자 수는 562만8000명으로 0.4% 늘었다. 이 역시 2017년 가입자 증가율(0.7%)보다 둔화된 것이다.
전체 적립금 중 연금저축보험이 100조5000억원으로 74.3%를 차지했다. 이와 함께 연금저축신탁(12.7%), 연금저축펀드(9.0%) 순으로 나타났다. 연금저축펀드의 경우 증시 변동에 동조해 지난해 보다 다소 낮아진 것으로 금감원은 풀이했다.
지난해 연금저축 총납입액은 10조803억원으로 전년 대비 1.3% 감소했다. 연간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인 400만원 이하 납입계약이 90.0%를 차지했고, 400만원 초과 납입계약은 10.0%에 불과했다.
지난해 연금저축 신규 계약 수는 30만7000건으로 전년 대비 15.3% 줄었다. 보험 신계약이 19만3000건으로 63.0%였고, 펀드 신계약은 11만3000건(37.0%)이었다. 은행권의 연금신탁은 지난해 1월부터 신계약 판매가 중단됐다.
지난해 연금저축 해지계약 수는 31만2000건으로 4.2% 감소했다. 중도해지금액은 3조5000억원(해지환급금 기준)으로 9.2%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연금저축 적립금의 양적 성장은 지속됐으나 세제혜택 축소, 은행 연금신탁 판매 중단, 경기 둔화 여파의 영향으로 증가세는 둔화됐다"며 "연금신탁 판매중단에 따라 대체상품인 개인형 퇴직연금(IRP) 시장 적립금이 지난해 3조9000억원 급성장했다"고 설명했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기로 접어든 가운데 노후를 위한 '안전판'이 되어야 할 연금저축이 용돈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고령사회'로 접어든 만큼 연금저축 활성화가 한층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김동엽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상무는 "향후 신규 가입자 둔화 뿐 아니라 베이비부머 세대의 퇴직으로 유출액이 확대되면서 연금저축 적립금 증가세는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해지를 줄이고 보다 장기적인 연금화를 이끌어낼 추가적인 유인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은 향후 연금저축과 개인형 IRP간 계좌이동이 신규 금융사만 방문하면 처리 가능하도록 개선하겠다는 방침이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