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진우의 부루마블] 게임업계가 새 문체부 장관에게 거는 기대

입력 2019-03-30 08:00
게임산업 주무부처 수장 교체 예정
박양우 중앙대 교수 후보자 내정

전임 장관 '소통' 문제 지적
규제 철폐만큼 '업계와 소통' 중요
"제대로 듣고 제대로 반영해 제대로 정책 펼쳐야"



국내 게임산업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의 수장이 바뀔 예정이다. 박양우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지난주 별탈 없이 마무리되면서 박 후보자가 다음달 문체부 신임 장관으로 임명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박양우 장관 후보자에 대한 게임업계의 전반적인 평가는 나쁘지 않다. 그는 2004년 문화관광부(문체부 전신)에서 문화산업국장으로 근무하면서 '게임산업과' 신설을 이끌었는데 지스타 개최 등에 깊이 관여하는 등 국내 게임산업 진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09년에는 한국게임산업협회장으로 추대될 정도로 게임산업 전반에 대한 이해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후보자는 현재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로 재직중이다.

박 후보자는 청문회 과정에서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질병사인분류(ICD-11) 게임장애 질병 등재를 인정하는 듯한 답변서 때문에 논란을 빚기도 했다. 하지만 실제 청문회에서 "게임을 질병으로 규정하는 건 옳지 않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하면서 게임업계의 지지를 받기도 했다.

더욱이 "게임산업에 대해 일반 국민들이 많은 오해를 하고 있다", "게임은 부작용도 있지만 긍정적인 면도 많다", 셧다운제의 합리적인 운영을 위해 여가부와 협의 체계를 구축하겠다", "업계의 의견을 들어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합리적 방안을 마련하겠다" 등의 발언은 게임업계에 기대감을 부풀렸다. 청문회를 지켜본 게임업계 관계자는 "다른 장관들에 비해 생각이 깨어있는 것 같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사실 박 후보자의 전임이자 문재인 정부 첫 번째 문체부 수장이었던 도종환 장관을 보는 게임업계의 시선은 그리 좋지 않았다. 지난해 10월 한국게임학회와 콘텐츠미래융합포럼이 업계 관계자(산업·언론·학계 등) 114명에게 설문한 결과, 절반 이상(79명)이 '업무 수행을 잘 하지 못했다'고 답했을 정도였다.

도 장관이 비판받은 가장 큰 이유로 '부족한 소통 의지'가 꼽힌다. 산업 독과점, 양극화, 중소개발사 붕괴, 부정적 인식 개선 등은 제외하더라도 업계의 목소리를 듣지 않았다는 비판은 공통 분모다. 이 때문에 새로운 박 장관 후보자를 회의적으로 바라보는 시선도 있다. '그 나물에 그 밥'이라는 생각에서다.

게임업계 종사자 10여 명에게 '새로운 문체부 장관에게 바라는 점'을 물었더니 대부분이 '업계와의 소통'을 강조했다. 셧다운제 같은 규제를 철폐해달라거나 양극화를 해결해 줄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근본적인 요구는 '소통'이었다.

중견 게임사 간부는 "업계와 소통할 수 있는 정기적인 모임을 마련해 달라"고 했고, 대형 게임사 관계자는 "젊은 전문가를 기용해 정서적 간극을 없애줄 것"을 요청했다. 게임개발 스튜디오에서 근무하는 20대 A씨는 "소통한다는 명목으로 간담회를 하는 모습은 사라졌으면 좋겠다"며 "익명 게시판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학계의 입장도 비슷했다.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중앙대 교수)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귀 담아 들었으면 좋겠다"면서 "산업진흥과 규제 철폐에 대한 책임있는 모습을 보여주길 바란다"고 했다. 김정태 동양대 게임학부 교수는 한발 더 나아가 "제대로 듣고 제대로 반영해서 제대로 정책을 펼쳐야 한다"면서 "제대로 된 게임 생태계를 만들어달라"고 당부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