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이승윤 래디쉬 대표
독자 데이터를 분석해 스토리 만드는 '래디쉬 오리지널'
구독 모델로 영미권 웹소설 선두주자
소설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조앤 롤링은 전세계를 마법에 건 번개 흉터 소년 ‘해리포터’를 낳기 위해 영국 애든버러의 카페 의자가 닳도록 카페를 방문했다. ‘태백산맥’의 조정래는 7년간 매일 하루 16시간을 꼼짝 않고 집필에 몰두했다. 작가 1명이 온힘을 다하지만 막상 나온 작품이 독자들의 선택을 받느냐는 별개의 문제다. 창작하는 동안 작가의 수입이 불안정한 것 또한 문제다.
18일 서울 위워크 강남점에서 만난 이승윤 래디쉬 대표는 “래디쉬는 아직 기술의 손이 닿지 않은 소설 산업에 정보기술(IT)을 접목시켜 혁신을 꾀하는 온라인 웹소설 플랫폼”이라고 소개했다. 시장과의 직접 소통도 없고, 수입도 불안정할 수밖에 없는 소설 창작의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래디쉬 오리지널’은 IT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다른 방식으로 소설을 만든다. 철저히 데이터 기반의 제작이 특징이다. 콘텐츠 회사이지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있는 이유다. A/B테스트(서로 다른 두 시안에 대한 대조군 실험)로 구독자 반응을 보기도 하고, 실시간으로 유입률과 이탈률을 파악해 이탈이 너무 많으면 스토리의 방향을 바꾼다. 반응이 좋으면 매일 연재로 ‘푸쉬’하기도 한다. 이 방식을 적용해 작년 10월 만들어진 파일럿 작품 20개 중 현재까지 살아남은 작품은 6개뿐이다.
작가 1명이 작품을 책임지던 기존 창작 방식에도 탈피했다. 래디쉬 오리지널은 영화와 드라마 제작에서 활용하는 집단창작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PD와 메인작가, 보조작가가 한 팀이 돼 빠른 속도로 소설을 만드는 것이다. 1인 창작으로는 거의 불가능한 매일 연재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출판사 인사가 아닌 집단 창작인 드라마 제작을 지휘했던 인사를 영입했다.
래디쉬 오리지널은 새로운 수익 창출 방식이기도 하다. 래디쉬의 수익은 구독권 결제에서 나온다. 부분유료화인 래디쉬에서 일정 챕터 이상을 읽으려면 유료 결제로 구매한 구독권 ‘코인’이 필요하다. 1코인은 약 200원 수준이다. 얻은 수익은 작가와 5대 5로 분배한다. 선독점 등 특수한 경우에는 작가와 7대 3으로 나눈다. 작가와 수익을 나누던 기존 작품과 달리 래디쉬 오리지널은 래디쉬가 온전히 지적재산권(IP)와 수익을 가져간다.
그는 “전적으로 작가 한 사람의 창작에 기대고 작품의 성공을 ‘운’에 의지한 소설 창작은 전근대적 방식”이라고 말했다. 작가와 회사의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하기 위해 빠른 생산이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독자들의 반응을 체크해 입맛에 맞는 작품을 만드는 혁신을 만들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대표는 “미국에서 음악 분야에는 스포티파이가, 영상 분야에는 넷플릭스 같은 기존 산업을 붕괴시키는 혁신 기업이 나타났지만 모든 스토리의 원석이라고 할 수 있는 소설에는 혁신을 일으키는 기업이 없었다”며 “래디쉬가 소설계의 혁신을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래디쉬는 이러한 가능성을 인정받고 50억원의 시드 투자를 유치받기도 했다. 30명 남짓한 스타트업에 신종훈 前 카카오페이지 공동창업자·CTO(최고기술책임자)와 수 존슨 前 ABC 부사장과 같은 쟁쟁한 인사를 영입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이 대표는 래디쉬가 두번째 창업이다. 처음에는 뉴스 스타트업 ‘바이라인’을 창업했으나, 지속가능한 수익모델 창출에 어려움을 느끼고 눈을 돌렸다.
그는 아마존 ‘킨들’로 대표되는 전자책 리더기를 쓰던 독자들이 모바일로 옮겨가고 있었다는 점, 미국에서만 10조원에 가까운 소설 시장, 마지막으로 카카오페이지(한국)·샨다문학(중국) 등 유료 콘텐츠 모바일 플랫폼의 성공이라는 세 가지 가능성을 보고 웹소설로 사업모델을 바꿨다.
이 대표는 “영미권에서 구독형 모델을 가진 모바일 웹소설 플랫폼이 없기에 래디쉬가 선두주자”라고 말했다. 왓패드(Wattpad)와 같이 누구나 작품을 올릴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은 미국에 많았지만, 정제된 콘텐츠를 파는 동시에 독점 콘텐츠가 있는 구독 모델은 없었다는 설명이다.
2016년 서비스를 시작한 래디쉬에서 작품을 연재하는 작가 수는 1700여명, 작품 수는 6000여개다. 전체 이용자 수는 70만명이다. 로맨스 소설이 주류이다보니 2030 여성이 주 고객층이다. 차티스트 운동(영국의 참정권 확대 운동)을 배경으로 한 역사 로맨스 ‘Storm and silence’는 최고 인기작으로 누적조회수만 650만회에 누적매출은 8억원을 기록했다.
래디쉬의 올해 목표는 100만 이용자를 넘기고 오리지널 콘텐츠를 대폭 생산하는 것이다. 이 대표는 “인기작을 중심으로 오디오북을 만들 계획도 있다”고 밝혔다.
김남영 기자 n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