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읽기] 美·中 마찰 속 新불문율…親中국가 투자는 '쪽박'

입력 2019-01-27 17:57
한상춘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


[ 한상춘 기자 ] 세계 경제를 주도하고 있는 양대 국인 미국과 중국 간 무역마찰이 좀처럼 누그러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정부 출범 첫해에는 달러 약세에 위안화 약세로 맞서는 ‘환율 전쟁’에 이어 작년 들어서는 ‘보복관세와 첨단기술 전쟁’, 최근에는 비관세장벽과 지식재산권, 기술 탈취 문제를 놓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앞으로 미·중 간 무역마찰은 쉽게 타결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경제 주도권 싸움인 데다 경제발전 단계 격차가 워낙 커 미국의 대(對)중국 무역적자가 줄어들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 입장에서도 밀리면 정치 생명에 치명적인 타격을 받을 우려 또한 장애 요인이다.

미·중 간 무역마찰이 2년 이상 지속되면서 세계 경제와 국제금융 질서에 가져다준 변화는 매우 크고 광범위하다. 이제는 개인의 재테크에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글로벌 투자자 사이에는 중국뿐만 아니라 중국과 친한 국가에 투자하지 말라는 새로운 불문율(unwritten law)이 생기고 있다.

작년 이후 중국과 친한 국가의 주가는 지금까지 평균 15% 떨어졌다. 같은 기간 가장 좋은 성과를 냈던 현금의 수익률(세계 평균 예금금리)이 3%인 점을 감안하면 ‘쪽박’ 수준이다. 국내 금융회사가 지향하는 ‘시중금리+α’에 비해서도 터무니없이 낮다. 채권도 마찬가지다. 부도 위기에 몰린 국가가 많기 때문이다.

허브(hub)국인 중국 경제부터 심상치 않다. 작년 4분기 성장률이 6.4%로 목표치(6.5∼7%) 하단을 벗어났다. 그림자 금융, 과다 부채, 부동산 거품 등 이른바 ‘회색 코뿔소’ 현안이 쉽게 해결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여 앞날도 밝지 못하다. 작년 이후 상하이지수는 20% 넘게 급락했다. 중진국 함정과 금융위기 가능성이 함께 거론되고 있다.

미·중 간 마찰이 지속되는 과정에서 대외관계가 극적으로 변한 국가가 이란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오바마 지우기’ 일환으로 이란과 핵 협정을 포기하고 40년 만에 경제제재 조치를 재개했다. 다급한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중국과 대체관계를 모색하다가 경제와 금융시장이 난기류에 빠지는 악수(惡手)를 뒀다.

비슷한 처지에 있는 국가가 터키다. 미국인 목사 인질 사건에다 테러 적성국에 무기를 팔아 미국과의 관계가 악화됐다. 트럼프 대통령과 개인적인 감정싸움까지 벌인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계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 금융을 신청했으나 최대 의결권을 가진 미국의 반대에 부딪혀 수포로 돌아갔다.

중국의 일대일로(One belt, One road) 계획에 너무 앞서가다 미국과의 관계가 악화돼 경제가 어려워지고 주가가 급락했던 국가가 파키스탄과 스리랑카다. 파키스탄은 믿었던 중국이 자국 내 신용 경색으로 오히려 해외투자 자산을 회수함에 따라 경기와 금융시장이 더 어려워졌다. 남북한 관계에 앞서가는 우리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은 경제 파탄을 막기 위해 중국에 차관 공여를 요청했다가 된서리를 맞고 있다. 지난 15일에 마두로 대통령은 취임식을 했으나 미국은 야당 지도자인 후안 과이도를 베네수엘라 대통령으로 인정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군사 개입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도 같은 처지다. 강력한 마약사범 처리 등으로 한때 국민 지지도가 90%까지 올라갔던 대통령이 국민 위에 군림하자 트럼프 대통령의 견제로 성급하게 중국과의 관계를 모색했다. 미국 경제와 천수답(天水畓) 구조를 무시한 중국과의 관계 모색은 곧바로 페소화 가치와 주가 하락으로 연결됐다.

반면 미국과의 관계가 개선되면서 활기를 찾고 있는 국가가 있다. 인도와 브라질이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미국과 연대해 중국 대항의 첨병에 섰고, 작년 10월에 당선된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은 트럼프노믹스의 핵심인 감세와 친기업 정책 등을 추진하면서 경기가 회복되고 주가가 크게 올랐다.

한국은 전체 수출에서 27%를 차지할 만큼 중국 비중이 높다. 작년 여름 휴가철 이후 위안화와 원화 가치 간 상관계수가 0.9에 달할 만큼 유커 윔블던 현상도 심하다. 미·중 간 샌드위치 국면에 놓여 있는 한국은 대외경제정책 기조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것은 금물이다. 중국에 쏠린 대외경제정책 기조에 ‘균형’을 찾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