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일의원연맹 연례 합동회의에는 일본 총리의 축사가 없다고 한다. 이 회의가 열릴 때마다 한국 대통령과 일본 총리가 양국 관계 발전을 기원하는 축사를 보내는 게 관례였다. 방한한 30여 명의 일본 의원들은 청와대도 예방하지만, 한국 대통령에게 전하는 예년의 총리 친서도 올해는 없다고 한다. 한국과 일본의 외교관계 실상을 그대로 보여주는 듯하다.
‘과거사’로 비롯된 한·일의 소원한 관계가 너무 오래가고 있다. 3년 전 어렵사리 위안부 협상이 타결되면서 몇 년간 지속됐던 과거사 논란은 일단락되는 듯했다. 하지만 한국에서 정권이 바뀐 데다 최근 우리 대법원이 ‘일제 강제징용자 배상판결’을 확정하면서 양국 관계는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이래서는 안 된다.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의 전향적인 자세는 새삼스런 당부도 아니지만 우리도 과거보다는 미래, 감정·감성보다는 이성과 논리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과거사는 우리에겐 아픈 역사지만 냉정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 단장의 호소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외교는 상대방이 명확한 ‘국가의 생존게임’이다. 굳이 위안부 문제가 아니더라도 국가 간 합의를 깼을 때 상대국은 어떤 입장이 될지, 국제사회가 보는 눈은 어떨지도 판단해가며 지혜롭게 대처하는 게 중요하다. 껄끄러워진 한·일 관계는 전통적인 한·미·일 지역안보 협력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와중에 우리 외교부는 ‘중국국(局)’ 신설을 추진하고 있어 이 문제에도 일본은 비상한 관심을 보인다고 한다.
과거사로 보면 중국과 일본 사이에도 크나큰 상처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 아베 신조 총리의 중국 방문을 계기로 양국은 눈에 띄게 ‘협력강화’로 나아가고 있다. 한·일 간에도 협력할 일이 많다. 경제와 안보에 걸친 중국의 거친 행보도 한·일이 협력해야 저지할 수 있다. 양국 경제계라도 관계개선에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