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 100만원' 사설 입시컨설팅 문전성시…교육부 대입정보포털 ‘어디가’는 무용지물

입력 2018-12-05 14:56
수정 2018-12-05 16:29
‘불수능’ 여파로 대입 정시모집 지원을 놓고 학부모와 학생들의 혼란이 커지면서 사설 입시컨설팅 업체가 호황을 맞고 있다. 수험생에게 입학 대학을 찍어주는 컨설팅 서비스는 회당 최고 100만원이나 하지만 학부모들의 문의가 쏟아진다고 한다. 교육부가 58억원이나 들여 만들어놓은 무료 대입정보 포털사이트 ‘어디가’는 ‘무용지물’이다. 5일 어디가에서 각 대학 합격 여부를 가늠해볼 수 있는 ‘대학별 점수산출 서비스’는 4시간 동안 임시점검을 이유로 서비스가 중단됐다.

1회 상담에 30~100만 원

지난달 15일 치러진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성적통지표가 5일 수험생들에게 배부됐다. 수험생들이 원점수 외에도 표준점수, 백분위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대입 정시모집 지원준비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셈이다.

교육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부터 사설 입시컨설팅 업체들에 수험생이나 학부모들의 전화가 쏟아지고 있다. 정시모집 가·나·다군에 지원할 대학과 학과 세 곳을 골라주는 비용은 업체에 따라 1회에 30~100만원 선이다. 고등학교 3학년 1년간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요령, 수시모집 컨설팅 등 ‘종합 컨설팅’을 받으려면 수 백만 원을 지불해야 한다. 전화상담 1회에 50만 원을 받고 있다는 한 컨설팅 업체 관계자는 “불수능으로 예년과 대입 합격 점수가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측되고 수시모집 이월인원도 변수로 떠오르면서 정시모집 지원자들 입장에서는 셈법이 복잡해졌다”며 “문의전화가 하루 종일 쏟아져 식사도 직원들간 교대로 하러 가야 할 정도”라고 말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의대 전문’ 등 최상위권 학생들이 몰리는 특정 학과만 컨설팅해주는 업체도 있다. 한 입시컨설팅 업체는 수능일 직후 의대 입시용 전화 컨설팅 신청이 이미 마감됐다. 이 업체 관계자는 “학교 교사들은 수업, 행정처리 등 여러 곳에 신경을 써야 하는 입시상담 경험도 적다”며 “학부모, 수험생들이 학교 수업을 믿지 않은 지 오래됐듯이 입시전략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성적표 배부날 ‘먹통’된 교육부 대입정보포털

공교육에서 무료로 대입 상담을 받을 길이 아예 없는 건 아니다. 교육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는 2016년 58억 3000만 원의 예산을 들여 인터넷 무료 대입정보 포털사이트 ‘어디가’를 제작해 운영 중이다. 이 사이트에서는 수험생이 직접 내신과 수능점수를 입력하면 전년도 입시결과를 바탕으로 합격 여부를 가늠해 볼 수 있다. 고액 사설 입시컨설팅을 받지 않아도 누구나 원하는 대입정보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수험생이나 학부모들은 어디가를 이용하기가 복잡하고 불편해 사설 입시컨설팅 업체를 찾아갈 수밖에 없다고 호소한다. 어디가에서 각 대학의 합격 여부를 가늠해볼 수 있는 ‘대학별 점수산출 서비스’에서는 수험생이 일일이 원하는 대학과 학과 선택한 뒤 자신의 점수와 전년도 입시결과를 비교해야 한다. 점수를 입력하면 합격권 대학 명단을 보여주는 사설 업체와 반대다. 진로진학상담교사협의회 관계자는 “학생들이 가장 원하는 정보는 ‘합격컷(각 대학 합격을 위한 커트라인)’이지만 대학들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수준과 인기도가 드러나는 정보이기 때문에 공개를 꺼린다”며 “점수맞춤식 분석을 해주면 교육부가 학벌주의나 대학 서열화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지망 대학부터 선택하도록 한 걸로 안다”고 전했다.

또 수 년간의 입시결과를 제공하는 사설 업체들과 달리, 어디가는 전년 대입 결과와의 비교만 가능하다. 대전에 거주해 서울에 있는 사설 업체와 전화 컨설팅을 진행 중이라는 재수생 이재선 씨(20)는 “사설 업체를 신뢰하는 이유는 매해 수 천, 수 만 명의 데이터를 축적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성적통지표가 배부된 5일 어디가가 ‘먹통’이 되기도 했다. 어디가의 대학별 점수산출 서비스는 이날 낮 12시부터 4시까지 임시점검을 이유로 서비스가 중단됐다. 대교협 관계자는 “접속자 수가 급격히 몰리면서 사이트에 문제가 생겼다”며 “점검 상황에 따라 서비스 중단시간은 단축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구은서/정의진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