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마이크론 생산·판매 제한
美가 차이나모바일 막자
中 '첨단산업 사수' 의지
중국 진출 美기업 '초긴장'
"치안 불안" 美관광 제한 조짐
[ 강동균/김현석 기자 ]
미국과 중국의 상대방을 향한 ‘관세 폭탄’이 점점 현실화하는 분위기다. 미국 정부가 중국 최대 이동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의 미 시장 진출을 불허하자, 중국 정부는 곧바로 미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의 D램 및 플래시메모리 일부 제품의 중국 내 생산과 판매 금지라는 초강수를 들고나왔다. 양국은 6일부터 각각 340억달러(약 38조원) 규모의 상대방 제품에 25% 관세를 물리겠다고 예고해 놓고 있다.
◆미 기업에 초강수 둔 중국
중국 푸젠성 푸저우시 지방법원은 지난 3일 마이크론에 중국 내 생산과 판매를 중지하라는 예비 명령을 내렸다. 대만 반도체 기업 UMC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했다는 게 판결 이유다. 기술을 도둑질한다고 중국을 비난해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정면으로 겨냥한 것이라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다.
중국 법원의 판결 소식이 전해지면서 마이크론 주가는 뉴욕증시에서 3일(현지시간) 하루 동안 5.5% 급락했다. 마이크론은 세계 최대 반도체 시장인 중국에서 전체 매출(약 220억달러)의 50%를 올리고 있다. 다만 마이크론은 아직 중국 법원의 결정을 공식 통보받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반도체 굴기를 포함한 첨단 산업 육성 정책을 절대 포기할 수 없다는 중국 정부의 단호한 의지가 이번 판결에 담겨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UMC가 소송을 제기한 당사자이지만, 중국 국유 반도체 기업 푸젠진화가 UMC와 합작 관계라는 점에서다. 푸젠진화는 UMC와 공동으로 56억5000만달러를 투자해 진장시에 D램 생산공장을 짓고 있다. 올해 안에 시험 생산에 들어가 내년부터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할 계획이다.
마이크론에 대한 제재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단기적으로 반사이익을 볼 것이란 전망도 있다. 하지만 중국이 삼성과 SK하이닉스에 대해서도 가격 담합 등을 의심해 조사를 벌이고 있어 마이크론 제재가 남의 일이 아니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투자회사 맥쿼리리서치는 “마이크론 매출의 절반이 중국에서 발생하지만 이번 결정으로 금지된 제품의 비중은 그리 크지 않다”고 전했다.
◆6일 관세보복전 앞두고 초긴장
중국의 전격적인 마이크론 제재 소식이 전해지자 중국 시장에 진출한 미국 기업들은 전전긍긍하고 있다. 보복관세 외에 중국 정부가 새로운 규제를 들고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떨고 있는 기업은 자동차 업체다. 제너럴모터스(GM)는 지난해 그룹 전체 이익의 25%를, 포드는 12%를 중국에서 벌어들였다.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로선 중국은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이다. 작년 중국에서 전기차 1만7000대를 팔아 20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렸다.
애플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지난해 전체 판매에서 중국이 차지한 비중은 13%에 달했다. 애플은 제품 판매와 수익 감소뿐 아니라 제조 공정에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아이폰의 최대 위탁 생산 업체 폭스콘 공장이 중국 선전에 있다. 세계 항공 시장의 큰손인 중국 의존도가 높은 보잉과 중국에서 3300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스타벅스에도 비상이 걸렸다.
중국이 미국 관광을 제한하는, 이른바 ‘한미령(限美令)’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주미 중국대사관은 지난달 28일 유커(중국인 관광객)에게 “미국의 치안이 불안하며 총격 강도 절도 등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하는 안내문을 올렸다. 중국은 지난해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영화, 드라마, K팝 등 한류 제한과 한국행 여행상품 판매 중단 등 한한령(限韓令)으로 한국을 압박했다.
베이징=강동균/뉴욕=김현석 특파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