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검찰과 경찰이 드루킹 사건 전모 밝혀줄 것" 국회정상화 촉구

입력 2018-04-18 19:04
수정 2018-04-18 19:08
靑 "'드루킹 사건' 정부·여당 피해…검경, 사건 전모 밝혀줄 것 기대"
민주·국민의당 대선 고소·고발 취하명단 '드루킹' 포함 의혹제기
4월 임시국회 3주째 파행…개헌·추경 현안처리 '뒷전'
한국당 "느릅나무 연간 운영비 11억 원 배후는 특검으로 밝혀야"




더불어민주당원으로 밝혀진 '댓글조작단' 주도자 이른바 '드루킹 사건'을 두고 정국이 더욱 얼어붙었다.

여야의 가파른 대치가 지속되자 청와대가 야당의 비판을 과도한 정치공세를 반박하며 진화에 나섰지만 야당은 이번 사건을 '드루킹 게이트'로 규정하고 특검수사 요청 등 진상규명에 화력을 쏟아붓고 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18일 논평에서 "어지러운 말들이 춤추고 있지만, 사건의 본질은 간단하다"고 '드루킹 사건'을 규정하며 "누군가 매크로를 이용한 불법행위를 했고 정부·여당이 상처를 입었다는 것으로, 검찰과 경찰이 조속히 사건의 전모를 밝혀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민주당의 '가짜뉴스' 고발에서 출발했지만 문재인 대통령의 핵심측근인 김경수 의원과 연루 의혹이 불거지며 청와대로까지 불길이 번지자 조속한 진상규명을 촉구한 것이다.

박영선 의원 또한 이날 '드루킹 사건'에 대해 "한마디로 요약하면 착한 김경수가 악마에게 당했다는 그림이 그려지는 사건"이라면서 "이명박근혜 정권의 댓글 사건은 국정원, 국군기무사령부, 경찰이 동원된 국기 문란 사건이었지만, 드루킹 사건은 개인이 정치적 보신과 이권을 위해 브로커로 활동한, 개인의 야욕이 얼룩진 일탈 사건이었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야당의 공세는 거침이 없다.

이 사건을 정권 차원의 게이트라고 몰아붙이며 국회에서 이틀째 농성 중인 한국당은 "드루킹은 사실상 문재인 대선캠프 사람"이라며 민주당 차원의 연루 의혹을 거듭 제기했다.

홍준표 대표는 "(민주당의) 여론조작 사건은 이번에 단발로 이뤄진 것이 아니라 2012년 대선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며 "특검으로 가지 않으면 한국당은 국회를 보이콧할 수밖에 없다"고 강경한 자세를 취했다.

지난해 대선 직후 민주당과 국민의당이 대선과 관련한 고소·고발을 취하하는 과정에서 명단에 드루킹이 포함된 경위에 대한 추가 의혹까지 제기되며 문제 제기가 꼬리를 무는 모습이다.

당시 국민의당에서 협상을 담당한 관계자들은 "당시 의원이나 당 관계자에 대한 사람만 취소 대상이었는데, 민주당이 네티즌에 대한 고소·고발 취하를 먼저 하자고 했다"며 당시 민주당이 고발 대상에 드루킹이 포함된 걸 알고 이를 무마하기 위해 손을 쓴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국민의당은 드루킹이 지난해 4월 11일 문재인 공식팬카페에 작성한 글을 문제 삼으며 드루킹을 고발한 바 있다.

당시 문제의 글에는 "사실 국민의당이라고 쓰지만 읽기는 '내각제 야합세력', 'MB(이명박 전 대통령) 세력이다", "안철수는 MB 아바타"라는 내용 등이 담겨있었다.

이에 대해 백혜련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국민의당과 합의로 대선 관련 고소·고발 건을 취하하기로 했을 때, 국민의당이 보내온 고소·고발 현황 11건에는 국회의원과 캠프 관계자 및 '문팬 카페지기' 등이 있었다"면서 "문팬 카페지기 등 14명에 대한 고발장의 작성 주체는 국민의당이고 우리당은 관련한 고발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피고발인을 특정할 수가 없었다"며 의혹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못 박았다.

한국당은 "느릅나무 출판사 연간 운영비 11억 원의 배후는 특검으로 밝혀야 한다"고 자금 출처에 대해서도 의혹을 제기했다.

정태옥 한국당 대변인은 "느릅나무는 매년 6천만 원에 달하는 출판사 임차료를 8년 동안 꾸준히 냈고, 4~5명의 정규직 월급과 여론공작에 동원된 170대 이상의 휴대전화 월 기본료만 해도 매달 수천만 원의 운영비가 들었을 것이다"라면서 "이렇게 막대한 자금을 '일탈된 개인'이 '자발적 선거참여'에 사용했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되는 일이다"라고 주장했다.

정치권에선 그러나 야당이 정권 차원의 '게이트'라며 공세 수위를 한껏 높인 상황에 청와대까지 가세하며 오는 27일 예정된 남북정상회담까지 정국 경색이 결국 장기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형국이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