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음마 뗀 한국형 스마트시티… 세종·부산 올 들어 시범사업 시작

입력 2018-02-27 17:12
수정 2018-02-28 06:38
도시재생이 답이다

매년 시범지구 4곳씩 지정
민관 협업·마스터플랜 절실


[ 김진수 기자 ] 국내 스마트시티는 아직 걸음마 단계란 평가를 받는다. 올 들어서야 스마트시티 시범사업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일본 등 스마트시티 선진국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마스터플랜과 민·관의 협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8월 “국토교통부·산업통상자원부·환경부가 협력해볼 만한 사업이 스마트시티”라고 말한 이후 스마트시티 사업이 본격화됐다. 준비 과정을 거쳐 지난달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세종시 5-1생활권과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를 스마트시티 시범지구로 지정했다.

세종시 5-1생활권은 3차원 정밀지도와 지능형 통신시스템을 갖춘 자율주행차 특화도시로 조성할 방침이다. 승용차는 물론 버스 등 대중교통 수단도 자율주행 방식으로 운영한다. 또 제로에너지단지를 세우고 전력 중개·판매 시범서비스를 도입한다. 에코델타시티 내 세 물길이 만나는 세물머리지역에는 홍수통합관리시스템 등 10여 가지 첨단 기술을 적용해 친환경 친수공간을 조성한다. 정부는 매년 스마트시티 시범지구를 4곳씩 지정할 예정이다.

정부는 2000년대 들어 도시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비쿼터스 도시’ 개념을 정립했다. 초고속정보통신망 등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해 행정·교통·교육·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이다. 이후 몇 년간 관련 논의를 했지만 구체적인 실천 없이 제자리걸음을 했다는 평가다. 세계적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지 못한 채 방범 통신 등 기초 서비스만 강조하다 스마트시티 선점 기회를 놓쳤다는 지적이다.

주요 지방자치단체도 스마트 인프라 확충에 관심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서울 노원구 제로에너지 단지, 경북 고령 스마트워터(친환경 물산업)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일부 인프라 개선에 머물고 있는 게 한계다.

민간에서는 ‘첨단 자족도시(SiTi)’ 건설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정보기술(IT)을 접목해 의식주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려는 시도다. 재단법인 에스라이프는 공유경제, 자급자족, 공동교육 등을 포함한 새로운 도시모델 개념을 제안했다. 단지 내 태양광 발전소, 풍력, 지열 등을 활용해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협동조합 등을 설립, 일자리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7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