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건강기능식품산업 '신소재 발굴' 날개 달아야

입력 2018-02-04 17:46
백수오 파동 후 신소재 개발 급감
홍삼 의존 탈피해 수출품 만들려면
정부·기업 협력하고 IT 접목해야

강윤구 <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고문 >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건강관리 패러다임이 치료에서 예방으로 바뀌고 있다.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도 가파른 성장세다. 건강기능식품은 최근 미국과 서유럽 등 선진국에서 품질 우수성과 안전성을 인정받으며 수출 효자 노릇도 하고 있다.

그러나 기대감 뒤편으로 시장 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들린다. 건강기능식품 소재가 홍삼 등 일부 인기 품목에 지나치게 의존해 시장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또 대기업 중심의 시장 구조로 인해 중소기업은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하는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모든 산업이 그렇듯 균형 성장을 위해선 지속적인 신소재 발굴과 신제품 출시가 이뤄져야 한다. 특히 건강은 성별·연령·상황에 따라 요구 조건이 다르다. 각 개인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선 다양한 기능을 갖춘 품목을 발굴해야 한다.

2016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신소재 기능성을 인정한 건강기능식품은 두 건에 불과했다. 약 5조원으로 가늠되는 시장에서 한 해 동안 신소재 두 개가 나왔다는 뜻이다. 2015년 발생한 ‘가짜 백수오 사태’를 기점으로 기능성 원료를 평가하는 식약처와 심의위원회 시선이 매우 까다로워졌다. 단일 회사의 이물질 이슈가 시장 전체 문제로 확대된 것과 함께 심사 주체의 주관과 시장 분위기에 따라 기업의 신소재 개발 의지가 좌우되는 환경이 핵심 원인으로 지목된다.

건강기능식품산업의 최우선 가치인 ‘국민 건강 증진’이라는 대의와 수출을 통한 국가 경제 발전에 대한 기여도를 고려한다면 앞서 지적한 신소재 개발 환경은 빨리 개선하는 게 옳다. 한국은 기능성 원료로 개발할 수 있는 풍부한 천연물 자원과 우수한 육종 기술을 갖고 있다. 다양한 기능성 원료가 제품으로 상용화된다면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신소재 연구개발 과정상의 불필요한 절차와 비용도 짚어봐야 할 대목이다. 얼어붙은 산업체의 개발 의지를 불러일으키기 위해서는 정부 주도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관련 정부 부처 간 연계를 통해 기업이 신소재 연구개발을 활발히 전개해 나갈 수 있게 교육 시스템과 공동연구 클러스터 등을 도입하고, 선진국인 미국과 일본 시장 사례를 벤치마킹해 진입 장벽은 낮추고 기업의 책임을 높이는 방향으로 관리 제도의 변화를 꾀해야 한다.

물론 산업계 자신의 발전 노력도 중요하다. 세계적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단기 이익을 위한 마케팅 경쟁에 치중하기보다 건강기능식품 신소재 개발과 제조 기술에 투자해야 한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현대인의 건강 상태에 가장 필요한 기능성 성분을 발굴하고, 이를 과학화와 표준화에 기초해 품질을 개선하는 등 그 기능성을 꾸준히 향상해 가야 한다. 더불어 국가별로 다른 시장 환경과 제도적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관련 정보를 능동적으로 습득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앞으로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해 바이오·헬스산업은 개개인에게 맞춤화된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느냐에 따라 그 성패가 달려 있다. 우리나라 건강기능식품산업은 국가적 강점인 정보기술(IT)과 융복합한 기술을 도입할 경우 보다 과학적이고 개인화된 건강 포트폴리오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가 크다. 이런 시기적 흐름과 가능성을 십분 활용해 정부와 산업계가 함께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면 머지않아 대한민국이 바이오·헬스 분야 초일류 국가로 당당하게 자리매김할 수 있는 날이 도래하리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