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호 < KDI 전문연구원 >
며칠 뒤면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다. 대입으로 대변되는 교육이 우리 사회에서 지니고 있는 의미는 절대적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교육이 지니는 의미는 더욱 커지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는 교육을 통해 사회의 보편적 가치를 따르는 시민을 재생산하는 의미보다 국가 경제에 필요한 인적 자본을 형성하기 위한 논의가 더 많은 것이 사실이다. 개인적 차원에서도 더 나은 사회적 지위와 경제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육이 중요시되고 있다.
교육에 이처럼 경제적인 의미가 부여되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일까. 결정적인 계기는 ‘산업혁명’이다. 농경사회에서는 고도의 학습이 필요하지 않았다. 농사일은 형이나 아버지 곁에서 몇 해 따라 하면 배울 수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교육은 국가 구성원의 공동체 의식을 형성해 국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주력해왔다.
교육이 이런 기능에 주력해왔다는 사실은 과거시험제도를 통해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국가 최고 인재를 선발하는 시험인 과거시험의 과목은 유교, 불교와 같은 도덕철학이었다. 교육과정 또한 도덕철학과 의례, 예법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뤘다. 이런 사실들은 산업혁명 이전의 교육이 사회의 보편적 가치를 지닌 시민을 양성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음을 방증한다.
하지만 산업혁명 이후 상황은 달라진다. 산업혁명 이후에는 생산활동을 위해 기계를 만들거나 다룰 수 있는 공학적 지식이 필요하게 됐다. 이런 공학적 지식을 배우기 위해서는 이에 앞서 글을 배우거나 수학과 과학 등 기초지식이 필요했다. 즉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데 지식과 기술이 결정적인 요소가 된 것이다.
교육이 국가의 경제적 측면까지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자 많은 근대국가는 교육을 국민의 권리가 아니라 국민의 의무로 규정하기 시작했다. 제대로 교육받은 국민을 얼마나 많이 보유하고 있는가가 국가의 경제발전을 좌우할 뿐만 아니라 국가 존립마저 좌우할 수 있는 요인이 됐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산업혁명을 달성한 많은 국가에서 공교육과 의무교육의 개념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교육의 경제적 가치는 개인 차원에서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교육을 매개로 노동시장의 성과와 사회적 지위가 결정되기 시작했다. 심지어 교육 정도에 따라 빈곤이 대물림돼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자녀의 교육 성취도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됐다.
최근 한국 사회는 네 번째 산업혁명을 준비 중이다. 이 시점에 우리가 기억해야 할 점은 앞선 산업혁명을 통해 기술 환경이 바뀌자 그로 인해 경제활동의 내용과 가치가 달라졌고, 이는 다시 교육의 역할과 기능에 커다란 변화를 야기했다는 사실이다.
수능을 앞둔 이 시점에 우리는 과연 급변할 교육의 역할에 대해 얼마나 준비가 돼 있는지 되돌아봤으면 한다.
박정호 < KDI 전문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