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파문
아직도 풀리지 않은 '살충제 계란' 궁금증
생산자 표시로 구분할 수 있나…영세농장 상당수 표시 안해
살충제 계란 얼마나 오래됐나…사실상 수십년 전부터 유통
[ 고경봉/김보라/전예진 기자 ]
‘살충제 계란’ 파동이 3일째 이어지고 있지만 ‘식탁안전’을 둘러싼 논란은 가라앉기는커녕 더욱 불거지고 있다. 정부 발표의 허점이 속속 드러나고 인터넷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미확인 정보가 퍼지면서 소비자들이 느끼는 혼란이 커졌다. 닭고기는 정말 안전한 건지, 정부가 살충제 계란을 모두 폐기하겠다는데 우리가 섭취할 가능성은 없는 건지 아직도 풀리지 않는 궁금증들을 짚어봤다.
Q: 난각(생산자 표시)을 보면 살충제 계란을 구분할 수 있다는데 난각은 모든 계란에 찍혀 있는가.
A: 축산물위생관리법에 따라 모든 계란에는 의무적으로 난각이 표시돼야 한다. 하지만 난각이 찍히지 않은 채 유통되는 계란이 의외로 많다는 게 양계업계의 설명이다. 한 농장 대표는 “난각 표시를 하려면 선별기와 표시기, 세척기를 사야 하는데 수천만원이 필요하다”며 “영세 농장 중에는 이를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다”고 털어놨다. 소형 양계장 중에는 이처럼 난각이 없는 계란을 지인이나 중간 유통상 등 이른바 단골에게 판매하는 경우가 상당하다. 이런 계란들이 각종 가공식품으로 만들어져 판매될 경우 관할 부처에서도 파악하기 힘들다.
Q: 살충제에 노출된 산란계(계란 낳는 용으로 기르는 닭)는 닭고기로 안팔리는 게 맞나.
A: 정부는 산란계나 노계는 식용으로 팔리지 않는다고 설명해왔다. 실제로 산란계는 육질이 질기고 표면에 지방이 있어 대형마트 등에서 식용으로 팔리는 사례는 거의 없다. 하지만 양계업계에서는 “산란계로 역할을 다한 노계의 상당수가 재래시장이나 주택가 등지에서 생닭으로 팔린다”고 입을 모았다. 닭 육수를 내는 데도 산란계 노계를 활용하는 식당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육수 맛은 육계(식용닭)나 산란계나 별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햄 소시지 등 가공식품에 쓰이는 경우도 있다. 닭고기는 안전하다는 정부 발표에 허점이 있다는 얘기다. 정부도 최근 산란계 노계가 식용으로 팔리는 사실을 파악하고 살처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Q: 정부가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장에서 생산한 계란이 시장에 풀리더라도 전량 찾아내서 폐기하겠다고 하는데.
A: 정부가 유통단계에 있는 모든 계란을 파악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산란계 농장에서 계란을 사들이는 중간 유통상을 조사해야 되는데 이들 유통상은 ‘언제 어디에 팔았는지’를 기록해야 할 의무가 없다. 수첩에만 메모해두거나 기억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유통단계에서 추적이 가능한 계란은 절반도 안된다는 게 양계업계의 설명이다.
Q: 육계는 살충제를 안 쓴다는데 맞나.
A: 정부는 육계에 대해서는 살충제 사용 유무를 조사하지 않는다. ‘육계 농장은 진드기 등이 발생하지 않으니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을 뿐이다. 하지만 파리 모기를 쫓기 위해 농장 외곽에 살충제를 뿌리는 육계 농장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17일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육계에 대해서도 최근 살충제 검출 여부를 검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Q: 살충제 계란은 얼마나 유통돼왔나.
A: 정부가 계란의 살충제 성분 검출 가능성을 전수조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검출된 농약 중 비펜트린은 1988년부터, 피프로닐은 1993년부터 쓰였다. 양계업계에서는 “닭에 이가 많다는 이유 때문에 관행적으로 살충제를 쓰는 농장이 적지 않고, 닭장 밖 파리를 쫓는다고 파리약을 뿌리는 경우도 비일비재했다”고 전했다. 사실상 수십년간 살충제 계란이 국민의 밥상에 올라왔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경봉/김보라/전예진 기자 kgb@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2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