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농산업 육성, 6차 산업 고도화가 해법

입력 2017-08-01 18:06
수정 2017-08-02 06:02
김성수 < 한국농식품6차산업협회 회장 >


새 정부가 3대 농정 과제를 발표했다. △누구나 살고 싶은 복지 농·산·어촌 조성 △농어업인 소득 안전망의 촘촘한 확충 △지속가능한 농식품 산업기반 조성이 그것이다. 핵심은 ‘사람이 돌아오는 농촌’을 건설하겠다는 것이다.

이 가운데 농식품 산업기반 조성의 실천 방안으로 정부는 ‘6차 산업의 고도화’를 제시했다. 6차 산업이란 농촌에 존재하는 모든 유무형 자원(1차 산업)을 바탕으로 식품과 특산품 제조가공(2차 산업), 그리고 유통 판매, 체험 관광, 문화(3차 산업) 등을 연계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2016년 기준 6차 산업 인증 경영체는 약 1200개다. 그런데 인증업체 대다수가 개별 경영체여서 조직화를 통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어렵다.

정부의 6차 산업 고도화는 개별 경영체에서 탈피해 지구 단위 사업으로 규모를 확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2년까지 6차 산업형 친환경 농업지구 100개소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6차 산업화 성공 사례인 임실치즈는 벨기에 신부가 농한기에 일손을 놓은 우리 농민을 불쌍히 여겨 산양 두 마리를 보급하면서 시작됐다. 지금은 유제품 가공, 피자 외식산업, 농촌관광체험사업 등으로 연간 150억원대 매출을 올린다. 산업의 뿌리며 생명산업인 농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선 6차 산업 고도화가 해법이라는 것을 다 함께 인식해야 한다. 농업 관계자 모두 각오를 다지고 신(新)농정을 펼쳐야 할 때다.

새 정부 농정 과제와 6차 산업 고도화를 위해 몇 가지 실천 방안을 제시해본다. 첫째, 정부가 바뀌어도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성이 보장돼야 한다. 둘째,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로 이원화돼 있는 농어업 컨트롤타워를 하나로 합쳐야 한다. 셋째, 소비자와 산업계 인식 제고를 위해 다양한 판로를 개발하고 다각적으로 홍보를 펼쳐야 한다.

마지막으로 새 정부 농정 핵심 사업이 6차 산업 고도화에 역점을 둔다면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 증액이 절실하다. 올해 농식품부 예산이 14조5000억원에 이른다. 하지만 작년 6차 산업화 예산은 128억원에 불과했다. 투자전문가 짐 로저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최대 수혜자는 농부라고 말한 바 있다. 농업은 이제 농사를 짓는 것만이 아님을 인식하고 다원적 사고로 접근해야 한다.

김성수 < 한국농식품6차산업협회 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