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총재 "추경 집행하면 경기회복세 가팔라질 것"
금리 인상 카드 꺼내나…미국, 이번주 금리 인상 확실
연내 한·미 금리 역전 가능성…치솟는 가계부채도 부담
"정부 경기부양 의지 감안, 이른 시일내 올리진 않을 듯"
[ 김은정/서기열 기자 ]
“기준금리 인하의 필요성이 이전보다 줄었다.”(2017년 4월13일, 금융통화위원회 간담회)→ “경제 수준을 고려했을 때 현재 금리 수준도 충분히 완화적이다.”(5월25일, 금융통화위원회 간담회)→ “경제 상황이 보다 뚜렷이 개선되면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6월12일, 한국은행 창립 67주년 기념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가 ‘매파(통화 긴축론자)’ 색깔을 드러내고 있다. 통화정책 관련 발언의 톤을 조금씩 달리하며 시장에 신호를 주고 있다. “경기 회복세가 지속돼야 한다”는 전제조건을 달긴 했지만 “한 달 새 금리 인상 가능성에 반걸음 더 다가갔다”(윤면식 한은 부총재보)는 해석이 나온다.
◆무르익는 대외 여건
이 총재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건 2014년 4월 취임 이후 3년 만에 처음이다. 취임 당시 연 2.5%이던 금리는 다섯 차례에 걸쳐 인하돼 지난해 6월부터 사상 최저인 연 1.25%가 유지되고 있다. 12일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 가능성을 면밀하게 검토하겠다”는 이 총재의 발언을 두고 “그만큼 금리 인상을 위한 대내외적 여건이 무르익은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다.
일단 13~14일(현지시간) 미국 중앙은행(Fed)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시장에선 현재 연 0.75~1.0%에서 연 1.0~1.25%로 올릴 것이라고 예상한다. 금리 상단을 기준으로 미국과 한국의 정책금리가 같아지는 셈이다. Fed가 올 하반기에도 한 차례 더 올리면 10년 만에 한·미 간 금리 역전이 벌어진다. 이는 곧 외국인 투자자금의 유출 우려로 이어져 한은 금리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예상을 웃돌고 있는 경제 회복세도 배경으로 꼽힌다. 이 총재는 이날 “올해 경제 성장률이 지난 4월 전망치(2.6%)를 웃돌 것”이라며 “새 정부의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한 재정지출 확대 방안이 실행에 옮겨지면 성장세가 더 가팔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4월 종전 2.5%였던 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상향 조정한 데 이어 다음달에도 0.1%포인트가량 올려 잡을 전망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수출이 호조를 나타내고 있는 데다 건설 투자가 성장을 견인하고 있어서다.
치솟고 있는 부동산 가격과 불어난 가계부채도 금리 인상의 고려 요인이다. 마침 새 정부 첫 경제팀은 집값 과열을 잡기 위해 대책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금리 인상 시점은
다만 한은이 이른 시일 내 금리 인상에는 나서지 않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새 정부가 11조원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일자리 창출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 인상이 새 정부의 경기 부양 의지에 찬물을 끼얹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당장 금리를 올린다는 신호라기보다는 금리 인상 쪽으로 보폭을 좀 더 옮겨놓는다는 흐름의 변화 정도로 이해하고 있다”며 “꺼져 있던 ‘금리 인상 깜빡이’가 미약하게나마 켜진 수준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금리 인상은 내년 이후 가능할 것이라는 게 시장의 중론이다. 다음번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는 다음달 13일 열린다.
이날 이 총재의 ‘긴축’ 신호에 국고채 금리는 큰 폭으로 뛰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이날 전 거래일보다 0.065%포인트 오른 연 1.697%로 거래를 마쳤다. 국고채 금리는 올 3월 이후 하락세를 이어오며 지난 7일엔 올 상반기 저점 수준에 달하는 연 1.621%(3년 만기 기준)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김은정/서기열 기자 kej@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0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