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라도 문제, 내려도 문제?…물가가 뭐길래

입력 2017-06-05 09:03
[ 임현우 기자 ] ‘장바구니 물가가 들썩인다’는 뉴스가 연일 쏟아지고 있다. 라면, 치킨, 햄버거, 빵, 맥주, 음료, 빙과 등의 가격 인상이 줄을 이었고 긴 가뭄 탓에 채소와 과일값도 부쩍 올랐다고 한다. “안 오르는 게 없다”는 볼멘소리도 들린다. 그런데 몇 달 전만 해도 ‘물가가 안 오르는 디플레이션이 걱정’이라는 뉴스가 봇물을 이뤘다. 물가상승률이 계속 0%대에 머물자 “이러다 저성장의 늪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가 여기저기서 나왔다. 올라도 문제, 안 올라도 문제라는 말이니 아리송하기만 하다.

물가 상승을 반길 소비자는 없지만, 사실 물가 상승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다. 경제 성장의 과정에서 자연스레 따라오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소비와 투자가 늘면 여러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오르기 마련이고, 이는 임금 상승과 매출 증가로 이어져 소비와 투자를 다시 늘리게 된다. 중요한 것은 그 속도다. 경제학자들은 적정 수준의 물가 상승이 경제에 ‘윤활유’ 역할을 한다고 말한다. 실제로 한국,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등의 중앙은행들은 물가상승률의 중기(中期) 목표치를 2%로 잡고 있다. 물가가 안 오르는 것이 좋은 게 아니라 경제가 감내할 수 있는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올라야 좋다는 얘기다. 반대로 물가가 계속 떨어지면 경제가 ‘무기력증’에 빠지는 디플레이션의 징후로 받아들여진다.

물가는 온 국민의 일상생활과 직결된 만큼 누구나 관심이 많다. 하지만 물가에 대한 세간의 ‘상식’ 중에는 잘못된 ‘오해’도 많은 것이 사실이다. 사람들은 자신이 자주 사는 상품의 가격이 오를 때만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강해 ‘물가는 늘 뛰기만 한다’ ‘가격 인상은 나쁘다’고 여긴다. 정부 역시 ‘가격은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는 경제학의 기본원리를 잘 알면서도 외면하곤 한다. 정부가 과자값을 올리지 말라고 압박하면 과자의 용량이 줄어들고, 통신비를 내려주겠다며 만든 단통법이 되레 전 국민을 ‘호갱’으로 만드는 가격 통제의 부작용도 끊이지 않는다.

이번호에서는 물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자. 물가에 대해 사람들이 갖고 있는 오해와 진실을 알아보고, 가격과 관련된 경제학 개념들도 알기 쉽게 풀어본다.

임현우 한국경제신문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