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재윤의 '중국과 중국(中國)' (19) 정(政)-2] 중국 사조직은 권력 재생산의 창구

입력 2017-05-29 17:58
류재윤 < 한국콜마 고문 >


다양한 형태의 사조직은 오늘날의 중국에도 단단하게 뿌리를 뻗치고 있다. 중국 조직행위학 연구가인 양충(楊忠) 교수는 중국조직에서 사조직이 유난히 많은 이유를 연구했다. 그는 이를 중국인 특유의 강한 ‘귀속욕구’와 ‘권력에 대한 추구(욕망)’ 등으로 설명한다. 큰 집단(예를 들면 회사라는 조직) 중에서 자신의 소그룹(사조직)을 형성함으로써 귀속욕구를 만족시킨다는 것이다. 전통문화와도 연결돼 있다. 후자의 권력 추구는 정말 주의할 대목이다. 본 칼럼에서 중국 ?시의 특성을 설명했는데 그중 교환성, 권력의 재생산과 맥이 닿는다. 소집단(사조직)을 통해 ?시를 형성해서 권력을 재생산한다. 사조직을 지렛대로 활용해 자신과 주변의 이익을 추구한다. 문제는 회사 같은 조직 내에서도 이뤄지기 때문에 종종 조직 자체를 희생시키면서까지 사조직의 이익을 탐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회사보다 '우리' 이익이 우선

전해 들은 사례다. 모 대기업이 정보기술(IT) 관련 새로운 제품을 개발했다. 다행히 출시 직전 제품 자체에 바이러스가 심어져 있는 것을 극적으로 발견했다. 알고 보니 개발에 참여한 직원이 바이러스를 몰래 심었고 이를 치료할 백신을 동시에 개발했다. 시장 판매가 이뤄지고 제품에 문제가 생기면 이 백신을 팔아서 한몫 잡으려는 목적이었다. 회사로선 제품 자체뿐 아니라 브랜드 자체에 큰 타격을 입을 뻔한 아찔한 사건이었다. 주모자 외에 다른 조력자도 있었는데 그들은 이런 부도덕한 행위에 대해 그다지 고민 없이 참여했다고 한다. 큰돈을 벌 수 있다는 유혹도 있었지만 친한 동료 즉 ‘사조직’의 성원으로서 기꺼이 참여했다는 얘기다.

시장에서도 사조직이 작동

중국에서도 공정한 협력사를 찾기 위해 ‘공개입찰’할 때가 많다. 설비 등의 구매뿐 아니라 건설 시공 등 ‘공정한 경쟁’을 추구하기 위해 공개입찰을 한다. 하지만 단정적으로 말하면 (국내에서도 종종 그렇다고 하지만) 중국의 입찰에서 ‘공정한 입찰’은 거의 없다. 회사 내에서의 이익을 위주로 하는 사조직(파벌)이 은밀하게 그리고 철저하게 조종한다. 여기에 노련한(?) 회사가 중간에 끼어 있다면 더욱 그렇다. 중국의 특성을 감안하면 공개입찰은 공정함을 위한 어쩔 수 없는 차선책일 수는 있지만 종종 기대와는 거리가 멀다.

베이징대 광화관리학원(光華管理學院) 원장이던 짱웨이잉(張維迎) 교수는 “실제 규범 중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이익 분배의 공정성이다. 여기에는 상용하는 2개의 중요한 표준이 있는데 바로 평등원칙(norm of equality)과 공평원칙(norm of equity)이다. 평등과 공평의 상대적 중요성은 사회와 시간에 따라 변한다. 계획경제는 평등원칙이 주도했으나 시장경제는 공평이 주도한다”고 말한다. 얼핏 특별한 게 없어 보이지만 ‘공평의 원칙’에 또한 ‘중국 특색’이 작용함을 유의해야 한다. ‘유한자원의 분배’에서 공평의 원칙은 ‘원칙적으로’ 서양과 중국이 다르지 않다. 하지만 그 중시하는 ‘유한자원’이 다르다. 서양은 물질 또는 기회(의 분배)를 중시하지만 중국은 감정을 중시한다. 중국에서는 아는 이끼리의 감정 또는 ?시를 중시한다. 중국에서 중시하는 공정성은 아는 이와 모르는 이에게 공평하게 대하는 것이 아니다. 아는 이에게는 감정과 관심과 유·무형의 이익을 더 나눠주는 것이야말로 공정한 것으로 여긴다. “그가 비록 공로는 없지만 수고는 많았다(雖無功勞, 但有苦勞)”며 아는 이를 챙긴다. 조직 내에서의 객관적 능력보다 나와의 친소관계를 더욱 중시한다. 조직보다 ‘조직 내 사조직’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관료사회가 사조직의 온상

중국에는 특유의 ‘관료사회(官場·관장)’가 있다. 문화비평가 뽀양(柏楊)은 중국의 官場이야말로 온갖 내투(암투)의 온상이라고 말한다. “(관료집단인) 뷰로크라트(Bureaucrats)로 번역될 수 없다. 중국 官場의 특징은 충효의 대상이 국가가 아니며 리더는 더더욱 아니다. 단지 그를 관리로 만들어준 이들이다. 왕조는 변해도 官場은 안 바뀐다.”

官場이야말로 중국 조직의 전형이다. 정부는 물론이고 국유기업, 국영기업에 국한되지 않는다. 조직 자체보다 자신을 지지하는 이들끼리 서로(사조직)의 이익을 추구한다.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경쟁은 종종 경쟁이라기보다 암투에 가깝다. 뽀양은 이를 신랄하게 질책한다. “중국인의 최대 비애는 99%의 정력을 鍋里鬪(과리투: 한 솥 안에서 서로 다투는 것)에 쏟는다는 것이다.”

류재윤 < 한국콜마 고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