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대통령 문재인] 40% 득표한 문재인, 국민의당과 연대·통합 나서나

입력 2017-05-10 01:27
수정 2017-05-10 05:40
대선 이후 정국 어디로

여소야대 돌파 어떻게
과반 밑돌아 정국 주도 한계
국민의당 등에 장관직 할애
공동정부 구성 나설지 관심

한국당, 당권 놓고 내홍?
홍준표 중심 비박-친박계 갈등 가능성
바른정당과 합당 당분간 힘들 듯


[ 이재창 기자 ] 문재인 대통령 앞에 놓인 정국 상황은 녹록지 않다. 당장 41%를 득표한 ‘소수정권’이다. 게다가 여소야대다. 문 대통령이 속한 더불어민주당은 120석에 불과하다. 과반에 턱없이 부족하다. 과반 의석으로도 쉽지 않은 게 정국 운영이다. 120석으로는 필요한 법안 하나 자력으로 통과시킬 수 없다. 야당의 협조 없인 국회에서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 좀 더 겸손한 자세로 자신을 낮추고 야당과 협치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집권여당인 민주당은 원활한 정국 운영을 위해 국회 과반 의석을 확보하는 게 당면 과제다. 무엇보다 호남 지지 기반을 놓고 경쟁해온 국민의당과의 관계 정립이 초미의 관심사다. 문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국민의당은 통합 대상”이라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민주당으로선 국민의당과의 합당이 최선이다. 40석을 보유한 국민의당과 합당하면 단번에 과반 의석을 확보할 수 있지만 국민의당 내 부정적인 기류가 강해 조기 추진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대선 패배로 국민의당 의원 일부가 이탈해 민주당에 합류할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민주당은 ‘의원 빼오기’ 등 무리수는 두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양당 관계가 악화되면 새 정부 조각과 정부 조직개편 추진 등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어서다.

민주당은 정치적 부담이 큰 인위적 정계 개편보다는 큰 틀의 ‘범진보 연대’에 무게를 실을 것으로 전해졌다. ‘통합정부 구성’을 고리로 국민의당, 정의당과 긴밀한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그림이다. 국민의당 인사 2~3명과 정의당 인사 한 명 정도를 새 정부 내각에 참여시킴으로써 공동정부를 운영하는 방식으로 협력을 모색하는 것이다. 1997년 대선 때 새정치국민회의와 자유민주연합이 합당하지 않고 독자 정당을 유지하면서 공동정부를 운영한 ‘DJP 연합’과 비슷한 형태다. 국민의당이 어떤 입장을 취할지는 미지수다. 주요 지지 기반인 호남 민심 등 전체적인 민심의 향배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야권의 정계 개편은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의 진로와 맞물려 있다. 한국당은 대선에서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득표로 패배함에 따라 큰 충격을 받았다. 대선 과정에서 서청원 최경환 의원 등 친박(친박근혜)계 의원에 대한 징계 해제와 바른정당 의원 13명의 일괄복당을 결정한 홍준표 후보의 조치 등을 놓고 갈등이 불거질 개연성이 다분하다. 벌써부터 홍 후보를 중심으로 한 비박(비박근혜)계와 친박계가 당권을 놓고 충돌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한국당의 갈등 수위에 따라 다시 당이 분열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대선 과정에서 의원 집단 탈당으로 한 차례 홍역을 치른 바른정당의 진로도 관심사다. 바른정당은 의원 20명으로 제4의 교섭단체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대선 과정에서 의원 13명의 ‘한국당행’이 역풍을 불러온 만큼 일단 한국당과 바른정당 간 통합 문제는 당분간 수면 아래로 잠복할 가능성이 높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한국당과 바른정당의 조기 합당 등은 가능성이 없지만 대선 후 보수층을 중심으로 ‘강한 보수 야당’을 원하는 여론이 형성되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재창 선임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