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는 자기 자랑을 하고, 리더는 후배 자랑을 한다

입력 2017-04-22 19:13


(생활경제부 김용준 기자) “전 점심은 햄버거 먹는 게 좋아요. 추어탕 진짜 지겹거든요.”

‘자체발광 오피스’라는 드라마에 나오는 대사입니다. 직장을 무대로 한 드라마는 항상 예상외의 인기를 누립니다. 이유는 공감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겠죠. 직장생활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역시 상사입니다. 미국에서 회사를 옮긴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적이 있습니다. 직장을 옮긴 사람의 40%가 첫번째 이유를 상사때문이라고 답했습니다. 기업의 네임밸류고 뭐고 상사가 더 중요했다는 결과입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겠지요. 오늘은 상사와 리더의 차이에 대해 정리를 해봤습니다. 취재하면서 들은 직장인들의 얘기입니다. 한경의 장기 연재물 “김과장 이대리” 콘셉트를 차용했습니다.

원래는 리더십 전문가 워런 베니스의 얘기를 정리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일부 후배들이 베니스 얘기는 뒤에 하고, 우리나라 얘기부터 하라고 해서 그렇게 해봅니다.

저 자신을 돌아보니 살짝 우울해 집니다. 나쁜 상사는 직급이 높을뿐, 리더라고 부를 수 없다는 베니스의 의견에 전적으로 공감하며.

그가 말하는 상사와 리더의 차이는 뒤에 붙여 놨습니다. 나쁜상사, 좋은리더에서 ‘나쁜, 좋은’은 생략했습니다.

1.상사는 카톡지옥을 만들고, 리더는 토론천국을 만든다.

상사는 입이 열려 있고, 리더는 귀가 열려 있다. 상사는 지 말만 하고, 리더는 말하게 한다.

상사는 아침부터 저녁까지 카톡방을 도배한다. 리더는 어떻게 하면 직원들이 카톡방에서 자유롭게 얘기할 수 있을지 고민한다. 상사는 후배들을 멍청하거나, 싸가지 없거나, 게으르다고 생각한다. 연신 카톡을 날리는 이유다. 단체 카톡방에서 말한 후 답 안하면 안한다고 *랄. 그래서 전부 “네” “넵” “넹” 등의 답을 연속으로 받아야 기분이 좋아진다. ‘후배들은 뭐 이런 사이코가 다 있나’ 라고 생각한다.

회의할때도 마찬가지다. 끝없이 얘기를 쏟아낸다. 한말 또하고, 지난주 한말 하고. 후배들은 머리를 숙이고 있다. 반성하는 게 아니다. 카톡으로 “쟤 왜저래?”라며 자신들만의 대화를 이어간다.

리더는 어떤 후배건 한방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카톡방에서 답하지 않아도 신경쓰지 않는다. 답할 시간에 무언가 새로운 것을 찾고 있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말을 제대로 접수했을 것이라고 믿는다. 신뢰는 관계의 접착제라는 확신이 있기 때문이다.

상사는 단점을 극대화하고, 리더는 장점을 극대화하는 성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벌어지는 차이다. 사람의 단점만 보면 쓸 사람이 없고, 사람의 장점만 보면 버릴 사람이 없다.

2.상사는 굽신거리는 사람을 높게 평가하고 리더는 일 잘하는 사람을 높게 평가한다.

인사평가는 상사의 핵심 미션이다. 나쁜 상사는 입안의 혀처럼 노는 사람에게 좋은 고과를 준다. 리더는 호불호와 성과를 철저히 구분한다. 그래서 상사는 사람을 장악하려 하고, 리더는 상황을 장악하려 한다. 상사는 부서원들이 모두 자기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자신을 좋아해야 하고 믿고 따라야 하는 게 의무라고 생각한다. 안되면 그들은 장악하기 위해 꼼수를 쓴다. 상사는 편을 만들고, 리더는 팀을 만든다. 자신감 없는 상사들은 자신을 따르는 자와 따르지 않는자를 갈라 분할 통치한다. 리더는 모든 팀원의 조화를 중시한다. 원팀이 그의 목표다. 피더드러커는 말했다. “리더는 인재를 볼때 능력을 따질 뿐이다. 자신을 얼마나 잘 따르는지는 고려의 대상이 아니다.”

3.상사는 회식때 지 먹고 싶은 걸 먹고, 리더는 맛집을 함께 찾는다.

직장인에게 먹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상. 상사들은 항상 회식을 앞두고“어 그래 너희들 먹고 싶은 거 정해”라고 한다. 그리고 돌아서자마자 자신이 먹고 싶은 메뉴를 대며“****는 어때?”라고 덧붙인다. 후배들은“에휴 또....”하며 질질 끌려간다. 리더는 후배들이 맛있게 먹는 것을 좋아한다. 남들을 위해 일했을때 기분이 좋아지는 자연의 선물, 세로토닌이 분비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세로토닌을 리더십 호르몬이라고 부른다. 리더십 호르몬에 중독된 리더들은 후배들의 성공에 기뻐하고, 실패에 눈물 흘린다. 자신이 무언가 이뤘을때 나오는 도파민과는 완전히 다른 호르몬이 주는 행복감을 느낀다.

4.상사는 지 자랑을 하고, 리더는 후배 자랑을 한다.

상사는 왕년을 얘기하고, 리더는 미래를 얘기한다. 진짜 왕년에 날리던 사람들은 스스로 얘기할 필요가 없다. 영업의 전설 등의 별칭으로 이미 후배들이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말을 하는 상사의 특징이 있다. “내가 예전에 큰일을 해낼뻔 했는데 말이야 어쩌구 저쩌구”

회식자리에 가면 더더욱 그렇다. 소통하자고 간다. 이 자리를 상사는 지자랑의 무대로 생각한다. 리더는 후배들 덕에 여기까지 왔다며 어깨를 두르려 준다.

엠티도 마찬가지다. 상사는 후배들의 주말을 빼앗으려 하고, 리더는 후배들이 원치 않으면 엠티의 엠자도 꺼내지 않는다. 갈때도 마찬가지다. 상사는 후배들이 준비한 엠티에서 먹기만 하고, 리더는 후배들이 즐거워 할 무언가를 준비한다.

5.상사는 책임을 피하고, 리더는 책임을 자처한다.

상사는 자기 살 살 궁리를 하고, 리더는 후배들이 살 궁리를 한다. 책임져야 할 일이 발생할때 보여주는 태도가 상사와 리더를 가른다. 상사는 무능한 후배를 탓하고, 리더는 자신을 탓한다. 상사는 자기 자존심을 지키고, 리더는 후배들 자존심을 지킨다. 무능력하면서 자격지심으로 똘똘 뭉쳐 있는 상사는 자기 자존심이 아주 조금이라도 상하면 난리가 난다.

6.상사는 지문이 없고, 리더는 굽힘이 없다.

상사는 약자에 강하고, 강자에 약하다. 리더는 반대다. 상사는 윗사람들에게 하도 비벼서 지문이 사라진다. 상사는 윗선의 부당한 요구에도 항상 기꺼이 응한다. 리더는 그러나 윗선의 부당한 요구를 수용하지 않는다. 그러다 부러지는 경우도 흔하게 본다. 안타깝지만.

7.상사는 지적질하고, 리더는 아이디어를 낸다.

상사는 상사놀이를 하고, 리더는 공동체 놀이를 한다. 후배들이 아이디어를 내면 상사는 지적질을 일삼는다. 상사로서 존재감을 확인하는 순간이다. 상사놀이라고 후배들은 표현한다. 아이디어 내고 말도 안되는 지적질 받으면 후배들은 점점 소극적이 된다. 조직은 가라앉는다.

반대로 리더는 작은 아이디어를 소중히 여긴다. ‘쟤가 말할때는 뭔가 느낀게 있어서 그렇겠지’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어떻게 하면 그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을지 고민한다. 함께 답을 찾는 것을 자신의 미션이라고 몸으로 느낀다.

8.상사는 자신은 한번도 해본적도 없고, 할수도 없는 일을 시킨다.

리더는 자신이 할수 없었던 일은 시키지 않는다. 리더는 일을 시키기 전 자신을 돌아본다. “나라면 이일을 해낼 수 있을까”불가능하다면 시키지 않는다. 꼭 해야 할 불가능한 일이라면 함께 나선다. 그래야 해낼 수 있다는 것을 몸으로 체득했기 때문이다.

상사는 자주 불가능에 도전하라고 한다. 알아보면 자신은 평생 해본적고 시도도 안해 본 일이다.

9.상사는 일이 잘못되면 소리를 지르고, 리더는 일이 잘못되면 농담을 한다.

돌발 상황. 상사는 당황하고, 리더는 차분해진다. 상사는 허둥대고, 리더는 상황을 통제하기 위해 애쓴다. 상사는 소리를 지르고, 리더는 농담을 한다. 상사의 당황한 뇌는 이성적 판단을 멈춘다. 상황은 더 악화되고, 책임을 뒤집어 씌울 대상을 찾는 것으로 이어진다. 나는 살겠다는 본능이 지배한다. 리더가 농담을 하는 이유는 이성적 판단이 불가능한 상황을 막기 위함이다. 자신이 당황하면 후배들은 더 곤혹스러워해 수습할 아이디어를 찾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고 있다. 위기의 순간, 상사는 동물이 되고, 리더는 심리학자가 된다.

10. 상사는 이런 말을 들어도 자기 일인지 모르고, 리더는 아닌 문제도 자신의 일로 받아들인다.

설명이 필요없다.

여기까지입니다. 원래 쓰려고 했던 워런 베니스의 관리자와 리더의 차이입니다.

1.관리자는 상황의 노예가 되고, 리리더는 상황의 정복자가 된다.

2. 관리자는 관리하고, 리더는 혁신한다

3. 관리자는 모방하고, 리더는 창조한다

4. 관리자는 유지하고 리더는 발전시킨다

5.관리자는 통제에 의존하고, 리더는 신뢰를 고취한다

6.관리자는 어떻게 언제를 묻고, 리더는 무엇 왜를 묻는다

7.관리자는 최종결과를 중시하고, 리더는 과정을 중시한다

8.관리자는 현상을 받아들이고, 리더는 현상에 도전한다

9.관리자는 전형적인 좋은 병사이고, 리더는 자기주도적이다

10.관리자는 일을 올바르게 하고, 리더는 올바른 일을 한다
(끝) /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