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구속일 급하게 잡은 기자회견/‘사실상’ 직선제 실시 등 파격 기자회견/이면엔 ‘총장퇴진’등 학내 갈등/4일 학생총회에서 운명 갈려/교수들 “직선제 회귀가 답은 아니다” 난항 예고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 실질심사를 하루 앞둔 29일, 성낙인 서울대 총장이 다음날 기자회견을 연다는 소식이 출입기자들에게 전해졌다. 서울대 관계자들을 수소문해보니 2011년 폐지한 총장 직선제를 되살린다는 게 핵심이란 얘기가 나왔다. 기자회견은 하루 미뤄졌지만 기자들 사이에선 “이토록 급하게 기자회견을 잡는 이유가 뭔가”는 말이 나왔다.
기자회견은 파격적이었다. 성 총장은 31일 기자회견에서 “간선제의 틀은 유지하되 전체 교수의 10%만 참여하는 총장 선출 방식을 바꿔 전임교수 100%가 참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서울대 교수 2105명이 가장 높게 평가한 후보를 이사회가 거부하긴 힘들단 점에서 ‘사실상’ 직선제인 셈이다. 그는 유력 대선주자들이 주장하는 정시 확대론에 대해서도 “수시로 인재를 발굴하는 게 정답”이라는 소신을 밝히기도 했다.
성과는 나쁘지 않았다. 굵직한 이슈들 사이에서도 성 총장의 발언은 대중의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학교 안팎에선 “성총장이 준비 없이 위험한 승부수를 던졌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관건은 직선제다. 국공립대 총장 간선제는 이명박 정권 이후 교육부의 ‘현재 진행형’ 핵심 과제다. 한데 국공립대의 ‘대장’격인 서울대가 교육부에 정면으로 맞선 것이다. 교육부와의 사전 협의도 없었다. 성 총장은 “교육부와 조율이 필요 없는 부분”이라며 선을 그었다. 교육부 측은 불쾌감을 내비쳤다.
2011년 서울대 법인화 이후에도 교육부는 여전히 서울대 정책을 좌우한다. 1조원에 달하는 서울대 예산을 심사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성 총장이 목줄을 쥔 교육부의 반발을 무릅쓰고 기자회견을 강행한 이유는 4일 예정된 학생총회에 있다.
내년 6월이면 임기가 끝나는 성 총장은 현재 궁지에 몰린 상태다. 학생들은 지난 달 11일 시흥캠퍼스 반대 본관점거농성을 해제 과정에서 벌어진 학생·교직원 간 물리적 충돌에 대한 책임을 총장에게 묻고 있다. 총학생회는 ‘총장퇴진’을 외치고 있다.
분위기는 심상치 않다. 학생총회는 학생들의 직접 투표로 학내 사안에 대한 행동 방향을 정하는 자리다. 총장퇴진운동 실시여부가 주요 안건이다. 학생 수천명이 모여 총장퇴진을 의결하면 학교 측도 마냥 무시하기 어렵다. “이번 결과에 따라 성 총장의 남은 임기가 식물 상태가 될 수 있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한 서울대 교수는 “이번 기자회견은 사태가 더 악화되기 전에 교수 여론이라도 추스리려는 시도”라고 분석했다.
문제는 그렇다해서 직선제 회귀를 마냥 좋게만 볼 수 있느냐다. 서울대의 총장직선제는 1991년 시작됐다. 이후 선거철이면 학연·지연에 따른 편가르기와 “누가 논문 표절을 했다더라”식의 흑색선전이 판쳤다. 직선제 이후 2명의 서울대 총장이 불법과외, 과도한 판공비 지출 등을 이유로 불명예 퇴진했다. 그 이면엔 교수들 사이의 권력투쟁이 있었다.
서울대 교수들 사이에서도 우려가 크다. 한 서울대 명예교수는 “간선제로 바뀌면서 고질적인 선거비리가 사라졌다”며 “정권에 휘둘렸다는 비판을 받는 이사회의 독립성과 투명성을 강화하는게 맞지 직선제 회귀가 답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성 총장은 기자회견에서 카메라를 향해 두 차례 고개를 숙였다. “서울대가 국민들의 자랑거리가 돼야 하는데 그동안 심려 끼쳐 드려서 사죄드립니다”면서다. 그의 ‘깜짝’ 기자회견이 위기를 무마하기 위함일지 서울대가 다시 국민의 자랑이 되기 위함일지는 앞으로의 신중한 행보에 달렸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