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국 '여행금지' 공세는 늘 실패였다…관광 선진화 기회다

입력 2017-03-05 18:12
중국이 한류 규제에 이어 여행금지령까지 동원했다. 정치적 목적을 앞세운 중국의 ‘협박 외교’는 고질적이다. 이전에도 수시로 이런 카드를 빼들었다. 정상적인 국가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감정 외교요 졸렬한 보복 외교다. 유커의 방한 금지령에 여행업계가 잔뜩 움츠리고 있다. 그러나 미리 겁을 먹거나 호들갑을 떨 필요는 없다. 오히려 이번 위기를 체질 개선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중국의 여행금지령은 늘 실패했다. 2012년 일본과의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갈등 때만 해도 그렇다. 대규모 반일시위 속에 내려진 여행금지로 중국인 관광객이 한 달 만에 34%나 줄었다. 그러나 일본 정부와 업계, 언론은 흔들리지 않았다. 과도하게 반응할수록 중국 정부에 휘둘린다는 것을 잘 알았기 때문이다. 일본은 한국과 동남아 여행객 유치로 방향을 돌렸다. 중국의 협박 카드는 더 이상 힘을 잃었다. 2013년 131만명이던 방일 중국인 관광객은 지난해 637만명으로 늘었다. 2010년 ‘희토류 전쟁’ 때도 일본은 시장 다변화로 중국을 보기 좋게 꺾어버렸다.

대만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차이잉원 총통에 대한 압박으로 관광금지령이 발동됐을 때 대만은 동남아 비자면제 등 ‘신남향정책(新南向政策)’으로 새 시장을 개척했다. 그 결과 태국인 관광객이 전년보다 57% 급증했고, 베트남 필리핀인도 각각 34%, 24% 늘었다. 일본과 한국 여행객까지 몰렸다. 줄어든 중국인(18%)을 상쇄하고도 남았다. 지난해 대만을 찾은 외국인은 1069만명으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대만뿐만 아니라 필리핀이나 노르웨이에 대한 중국의 보복도 다 실패로 끝났다.

이번 기회에 우리도 시장을 다변화하고 여행업의 체질을 바꿔야 한다. 지난해 중국인 관광객은 806만여명으로 외국인의 47%에 이른다. 절반이 줄어봤자 2010년대 초반 수준이다. 저가 단체관광을 줄이고 싼커(개별 중국인 관광객) 중심으로 재편하면서 일본 동남아 등의 관광객을 끌어오도록 산업 구조를 바꾸는 게 중요하다. 프리미엄 상품 개발과 미식, 의료, 문화관광 등 부가가치가 높은 콘텐츠 개발로 승부해야 한다. 숙박·음식·쇼핑·안내·교통 같은 관광 인프라도 개선해야 한다.

태국은 초저가 패키지 상품(일명 ‘제로 달러 투어’)을 줄이고 구매력 있는 관광객을 집중 유치해 수익률을 크게 높였다. 싸구려 상품을 줄이고 ‘큰손’ 관광객을 유치하자 양질의 여행객이 더 몰려 지난해 3000만명 돌파 기록까지 세웠다. 위기가 기회라는 말이 딱이다. 어디 여행업계뿐이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