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기 취항 불허에 방한 관광객 20% 감축 지시까지
연초부터 한국 관광산업에 ‘사드 먹구름’이 짙게 드리워졌다. 중국 정부가 한국의 사드 배치 결정에 대한 보복 차원으로 방한 관광객을 줄이려는 조치를 잇달아 내놓고 있어서다.
지난해 방한 중국인관광객은 804만명. 전년도에 비해 34% 늘었다. 하지만 사드 배치 방침이 정해진 7월 이후를 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7월 91만명이던 방한 중국인은 9월 72만명, 10월 68만명, 11월 51만명으로 뚝 떨어졌다. 11월 방한 중국인은 전년동기 대비 1.8% 증가하는 데 그쳤다. 10월에 비해서는 24.1% 감소했다. 중국 정부가 지난해 10월 방한 여행객을 20% 줄이라는 지침을 내린 후의 일이다. 지난 1~11월 방한 중국인 증가율(36.5%)도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로 인한 기저효과일 뿐 사실상 상승세는 멈춘 것으로 분석된다.
새해에도 중국의 견제는 계속될 전망이다. 지난달 28일 중국 민항국은 1월 한·중 간 전세기 취항 신청을 불허했다. 명확한 이유는 밝히지 않았지만 사드 보복의 일환으로 파악된다.
중국 춘제(설) 특수를 기대하던 여행업계는 걱정스런 표정이다. 한 중국 전담여행사 관계자는 “전세기가 취소되면서 중국 현지 여행사들은 한국 대신 상품가격이 비슷한 동남아 등으로 수요를 돌리고 있다”며 “이번 춘제를 앞두고 많이 기대했는데 관광객 감소가 현실로 나타나면서 어려움이 커질 것 같다”고 전망했다.
문제는 중국 시장의 비중이 너무 크다는 것. 지난해 방한 중국인은 전체 외국인관광객의 47%를 차지한다.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적지 않다. 2015년 방한 중국인 관광객 598만명이 쓴 비용은 139억달러(약 16조7000억원)였다. 중국인 관광객 1명이 사라질 때마다 약 2319달러(280만원)의 수입이 줄어드는 셈이다. 중국인 관광객이 20% 줄면 약 3조7000억원의 수입이 감소한다.
중국인 관광객 감소는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변수가 됐다. ‘관광절벽’ 상황을 피하려면 정부가 시장 다변화에 보다 적극적으로 신속히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장유재 한국여행업협회(KATA) 외국인여행위원장은 “일본의 경우 2003년 관광입국을 선언한 이후 파격적인 비자 완화 조치를 실시해 동남아 관광객 수를 크게 늘렸다”며 “정치·외교적 영향을 덜 받는 중국 개별관광객 유치나 신규 시장 개척을 위한 정책을 적극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명상 기자 terry@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