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계자산 포트폴리오가 부동산에서 금융자산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최근 한 경제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계의 실물자산 비중이 낮아지고 현금·예금·적금·보험 등 금융 안전자산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행의 국민대차대조표를 살펴보면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비금융자산 비중은 2008년 70.5%에서 2015년 63.1%까지 떨어졌다. 반면 금융자산은 같은 기간 29.5%에서 36.9%로 높아졌으며, 보험·연금 비중도 22.7%에서 31.1%로 커졌다.
우리나라는 미국, 유럽 등 선진국처럼 초저금리 국가로 향해 가고 있다. 올해 6월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연 1.5%에서 1.25%로 인하했다. 이처럼 저금리·저성장이 장기화되는 상황에서는 경제호황기 때와 다른 보장설계 방안이 필요하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보장자산은 전 생애에 걸쳐 준비해야 한다. 효율적인 보장설계란 가족구성원 모두가 생애 동안 경제적인 어려움 없이 삶을 영위해가는 최적의 길이다.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30대가 되면 직장을 구하고 결혼해 가정을 꾸리게 된다. 이때는 가장의 유고에 대비한 가족생활보장과 가족의 건강생활보장 준비가 최우선이 돼야 한다. 가족생활보장을 위한 대표적 상품으로는 종신보험을 들 수 있다. 가장이라면 종신보험을 통해 본인 연봉의 3~5배 정도 보장자산을 준비하는 것이 필수다. 이와 함께 건강보험, 실손보험 등을 활용해 본인은 물론, 배우자와 자녀를 위한 건강생활보장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의 경제활동이 종료되는 60세 이후가 되면 노후생활을 위한 연금자산을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예컨대 60세 시점에 은퇴할 경우 (평균수명 90세 가정) 노후생활비가 매달 300만원이 든다고 하면 필요자금만 10억8000만원에 이른다.
급격한 고령화로 길어진 노후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종신형 연금보험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생명보험사의 종신형 연금보험은 다른 금융사 연금상품과 달리 평생 연금을 받을 수 있어 장수 리스크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
노후생활자금 준비와 함께 노후의료비도 미리 마련하는 것이 좋다. 국민건강보험에 따르면 2014년 노인 1인당 평균 진료비는 339만원으로, 전체 국민 1인당 평균 진료비(109만원)의 3배를 넘었다.
예상치 못한 질병·사고로 인한 노후의료비 지출은 본인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노후생활자금까지 소진시켜 버릴 수 있다. CI보험, 실손보험 등을 통해 노후의료비를 준비한다면 크고 작은 질병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다.
끝으로 상속재산이 있는 자산가라면 사전증여나 상속계획이 반드시 필요하다. 상속세는 최고세율이 50%에 달해 부담이 크다. 상속분쟁과 유류분소송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종신보험의 사망보험금은 상속세 재원 마련의 훌륭한 대안이 된다. 피보험자를 본인으로, 계약자와 수익자를 보험료 납입능력이 있는 배우자나 자녀로 지정하면 사망보험금이 상속재산에 포함되지 않아 상속세 절세효과도 누릴 수 있다.
이두찬 < 교보생명 부산노블리에센터 웰스매니저(W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