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쇄 풀린 대한항공, 저유가 타고 호실적 '날개' 펼까

입력 2016-08-31 18:11
한진해운 지원 부담 벗어난 한진그룹 '맏형'

보유지분 등 3833억은 추가 손실
여객수요 증가·유류비 절감에 올 영업이익 1조원 이상 전망
연내 유상증자 가능성 낮아져


[ 하헌형 / 윤정현 기자 ] 한진해운이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면서 이 회사 최대주주(지분율 33.23%)인 대한항공도 한시름 놓게 됐다. 한진해운 지원에 대한 불확실성이 거의 사라졌기 때문이다. 지난 3년간 한진해운에 8000억원이 넘는 돈을 쏟아부으면서 악화된 실적과 재무구조가 빠른 속도로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3800억원 추가 손실 불가피

31일 유가증권시장에서 대한항공 주가는 전날보다 450원(1.45%) 오른 3만1550원에 마감했다. 한진해운에 대한 추가 지원 우려가 사라진 데다 올해 여객 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뚜렷한 실적 증가세를 보일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대한항공은 2013년부터 최근까지 자금난에 빠진 한진해운에 총 8200억원의 자금을 지원했다. 2013년 한진해운 주식과 사옥을 담보로 두 차례에 걸쳐 2500억원의 대출(올해 2월 영구채 인수를 통해 만기 연장)을 해준 데 이어 2014년 6월 한진해운 ?竄塚悶?참여해 4000억원을 투입했다. 그해 12월에는 한진해운이 발행한 영구 교환사채(EB)에 대한 보증을 서는 방식으로 2000억원을 추가 지원했다.

대한항공은 한진해운이 지난 5월 자율협약(채권단 공동관리)에 들어가면서 영구채와 영구 EB 관련 손실액 1308억원을 회계처리했다.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대한항공은 한진해운 주식 가치 하락분을 포함해 3833억원의 추가 손실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0년 이후 최대 영업益 전망

증권업계에서는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로 대한항공이 입을 손실보다 이득이 더 크다고 보고 있다. 일단 추가 자금 지원에 대한 부담이 없어지면서 실적과 재무구조가 빠른 속도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진해운이 지난 25일 산업은행 등 채권단에 제출한 자구안대로라면 대한항공이 올 3분기에 4000억원을 추가 지원했어야 했다. 이제 그 돈은 고스란히 대한항공 수중에 남게 된다. 노상원 동부증권 연구원은 “추가 지원 부담이 사라졌을 뿐만 아니라 저유가에 따른 유류비 절감과 여객 수요 증가로 실적 증가세도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대한항공의 연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회사 추정치 평균)는 전년(8831억원)보다 21.6% 늘어난 1조741억원이다. 2010년(1조1096억원) 이후 최대치다. 신민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배럴당 40달러대인 유가가 60달러를 넘어서지 않는 한 1조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KB투자증권은 이날 대한항공의 목표 주가를 4만원에서 5만3000원으로, 동부증권은 2만8000원에서 4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추가 자본 확충 가능성은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로 최근 3년간 하락 추세였던 대한항공의 신용도도 회복될 전망이다. 한국기업평가는 대한항공이 한진해운 지원에 나선 2013년 4분기 이후 대한항공의 신용등급을 ‘A0’에서 ‘BBB+’(10개 투자등급 중 하위 3위 등급)로 두 단계 떨어뜨렸다. 올 3월에는 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제시해 최대 18개월 내 등급을 한 번 더 떨어뜨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기업평가 관계자는 “대한항공의 신용도 하락의 큰 요인이었던 한진해운에 대한 불확실성이 사라졌다는 점은 긍정적 신호”라며 “다만 대한항공이 실적 개선을 통해 한진해운 관련 손실을 상쇄할 수 있을지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증권업계에서는 대한항공이 그동안 추진해온 유상증자 가능성은 크게 낮아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대한항공의 연결 부채비율은 1082%다. 신민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3833억원의 한진해운 관련 손실을 반영하더라도 이익 증가에 힘입어 대한항공의 부채비율은 올해 1000% 밑으로 내려갈 것”이라며 “지금도 채권 즉시 변제 요건인 ‘부채비율 1500% 초과’를 밑돌고 있기 때문에 자본 확충 필요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하헌형/윤정현 기자 hh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