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경묵 기자 ]
김관용 경북지사(사진)는 2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도청 이전은 정치·경제적 유불리를 떠나 숙명적인 역사였다”며 “100년, 200년 후 오늘이 역사의 현장으로 기록될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을 썼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하지만 도청 이전 후 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로 인간적인 고뇌도 많았다”고 털어놓았다. 도청 이전 작업이 35년이나 걸린 힘들고 어려운 과정이었고 새로운 경북이 맞닥뜨린 현실과 개척해야 할 미래가 녹록지 않기 때문이다.
김 지사는 우리나라 유일의 6선 지방자치단체장이다. 스스로 야전사령관이라고 말할 정도로 그는 22년간 늘 도민의 곁에, 현장에 있었다. 경북의 역동성과 능동성은 바로 현장에서 나왔다는 것이 주변의 평가다.
김 지사는 “정부 정책을 기다리는 부분이 있었지만 경북이 주도한 정책도 많았다”며 “도청 이전 특별법, 동서남해안 발전 특별법 등은 혼자가 아니라 광역협력의 틀을 활용해 지방이 함께 잘사는 길을 모색해온 사례”라고 소개했다. 그는 “국가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세포조직인 지방이 살아야 한다”며 “지방이 희망을 잃지 않고 중앙과 지방이 함께 가는 상생의 틀이 도청 이전을 계기로 만들어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새로운 경북이 중원문화와도 만나지만 경제도 허리경제권이라는 새로운 아젠다가 제시되고 광역협력으로 구체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도청 이전으로 충청·전북·강원권을 아우르고 정치적으로는 여야가 함께하는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며 “대구·경북의 성장축도 대구, 구미, 포항의 3륜 구동에서 안동과 북부권을 포함하는 4륜 구동으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방의 몰락이라는 책과 대공황 시대의 라이프지 사진 한 장을 늘 기억하며 도정을 펴왔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10년 전 한 세미나에서 전자산업이 구미를 지켜준다는 보장이 있을까라는 의문을 제기한 것을 들었는데 지금 보면 정확한 지적이었다”며 “공황 때 거리에 젊은이들이 구직광고를 목에 걸고 다니는 사진을 보고 늘 가슴에 되새기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 시대 공직자는 그런 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비장한 각오와 신념을 갖고 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경상북도의 신산업 육성을 통한 경북 경제의 재건과 일자리 창출, 한반도 허리경제권 구축을 위한 광역협력, 경북과 국토 균형발전에 경북의 역량을 결집해 새로운 경북의 신화를 창조하겠다”고 강조했다.
안동=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