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력난에 발목 잡힌 바이오산업
"당장 쓸 인력 씨 말랐다"
대학들 이론교육에 치우쳐 신입 가르치는데만 2~3년
실무 인재 키우는 아일랜드
전문기관서 최신 기술 교육
민·관 함께 인력 육성 나서야
[ 조미현 기자 ] 국내 바이오업계에 인력 확보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 한미약품이 8조원대의 기술수출 대박을 터뜨린 이후 국내에 바이오 열풍이 불면서 연구개발(R&D)뿐 아니라 생산, 임상, 영업, 마케팅 등 바이오산업 전반에 걸쳐 고급 인력 수요가 크게 늘고 있어서다. 바이오 벤처기업은 물론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대기업도 인력 확보에 골머리를 앓고 있을 정도다.
바이오 신약 개발과 바이오 의약품 생산기지로 도약하겠다는 정부의 K-바이오 육성 전략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 때문에 실무기술을 익힐 바이오 전문 교육시설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쓸 만한 인재가 없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따르면 특성화고, 전문대, 대학, 대학원 등을 나온 생명공학 관련 졸업자는 연간 1만4000여명이다. 하지만 취업률은 40% ?못 미친다. 2014년 조사에선 졸업자 1만3833명 가운데 5120명이 취업해 취업률이 37.1%에 그쳤다.
바이오 기업들이 신입사원 채용을 꺼리고 경력사원을 고집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오 의약품 제조 분야에선 까다로운 생산공정으로 신입사원을 현장에 투입하기까지 2~3년의 직무교육이 필요하다”며 “일손이 모자라다 보니 실무 경험을 갖춘 경력직을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이론 중심의 대학 교육이 인력난을 키운다는 비판도 나온다. 대다수 대학이 연구 중심의 커리큘럼을 운영하다 보니 학생들이 바이오 의약품 제조나 마케팅 등의 실무 교육을 받을 기회가 없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오 의약품 생산 장비를 실습실에 갖춘 대학이 국내에 한 곳도 없다”며 “산학협력 등을 통해 기업의 눈높이에 맞는 인재 양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해외서 사람 찾는 K-바이오
국내에서 사람을 뽑지 못한 바이오업체들이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 바이오 의약품 위탁생산업체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직원 10%는 외국인이다. 바이오 의약품 생산 경험이 있는 전문가가 아직은 국내에 많지 않아서다. 이 회사는 연산 18만L인 생산능력을 2018년까지 두 배인 36만L로 늘리는 증설작업을 하고 있다. 아일랜드의 국립 바이오 인력 교육기관인 NIBRT에 직원 연수를 검토 중인 것은 제조 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바이오 벤처기업의 인력난도 심각하긴 마찬가지다. 분자진단 전문기업 씨젠은 지난달 말 바이오 벤처기업으로는 이례적으로 공개 채용에 나섰다. 효소개발, 생물정보학 등 석·박사 전공자면서 업무경력 3년 鵑瓚繭?조건을 내걸었다. 하지만 지원자가 마땅치 않아 해외에서 인재를 찾고 있다.
씨젠 관계자는 “전문 기술을 보유한 인재를 찾다 보니 국내에선 조건에 맞는 사람을 찾기가 쉽지 않다”고 했다.
◆“바이오 전문 교육기관 만들자”
아일랜드 미국 등 바이오 선진국에선 전문 교육시설을 통해 실무 인력을 키우고 있다. 아일랜드는 투자개발청이 5700만유로(약 74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NIBRT를 세워 연간 4500명 안팎의 전문 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미국은 노스캐롤라이나대에 ‘바이오제조훈련교육센터(BTEC)’를 설치해 운영 중이다. 이곳에는 세포 성장, 정제 등 바이오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최신 파일럿 설비까지 갖춰 대학에서 배우지 못한 최신 실무 기술을 가르친다.
전문가들은 국내에도 바이오 의약품 제조 공정 등을 가르칠 전문 교육기관 설립이 시급하다고 조언했다. 손지호 한국바이오협회 인재개발실장은 “바이오 기업들이 신입 채용을 하고 싶어도 실무 경험과 기술을 지닌 지원자가 없어 애를 먹고 있다”며 “바이오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나 민관 차원의 체계적인 인력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