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자본 3조, 5조, 7조?…'초대형 IB' 기준선 놓고 논란

입력 2016-07-28 18:11
증권사별 가능업무·혜택 달라져

5조 적용땐 미래에셋대우만 해당
NH투자·KB는 추가 증자해야
3조·7조 단계별 혜택부여도 검토


[ 안상미 기자 ] 이르면 다음주 금융위원회가 ‘초대형 투자은행(IB) 육성방안’을 내놓을 예정인 가운데 초대형 IB의 기준선을 놓고 뒷말이 무성하다. 자기자본 5조원 선으로 진입장벽을 높이면 초대형 IB로 발돋움할 수 있는 업체가 나오기 힘들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3조원 VS 5조원’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당초 금융위는 초대형 IB의 자기자본 요건을 5조원 이상으로 정할 계획이었다. 위험한 투자를 하려면 안전장치가 튼튼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김태현 금융위원회 자본시장 국장은 “자기자본 3조원이 넘는 종합금융투자사업자(대형 IB)들도 단순 중개업무나 주가연계증권(ELS) 발행과 같은 판에 박힌 일만 하고 있다”며 “모험자본을 과감히 굴려야 하는 초대형 IB가 되려면 이보다 훨씬 많은 자기자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준선을 5조원 이상으로 높이면 초대형 IB에 적용될 수 있는 증권사는 미래에셋대우(자기자본 5조8000억원)뿐이다. 특혜 논란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2위인 NH투자증권(4조4709억원)과 현대증권과 합병해 3위로 올라선 KB증권(3조8473억원)도 지금보다 5000억~1조1000억원가량 추가로 늘려야 한다. 최근 자기자본금 3조원을 맞추기 위해 5000억원을 증자한 신한금융투자도 난처해질 수 있다.

대형 IB를 집중 육성하겠다는 당국의 취지에 발맞춰 자기자본을 3조원까지 늘려 놨는데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 전에 또 몸집을 키워야 하느냐는 불만도 나온다. 한 대형 증권사 대표는 “당국이 바라는 초대형 IB는 자기자본을 늘린다고 만들어지지 않는다”며 “기존 대형 IB들이 더 열심히 뛸 수 있도록 동기 부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업계의 반발을 감안, 자기자본 3조원과 자기자본 7조원을 기준선으로 삼고 해당 조건을 충족할 때마다 할 수 있는 업무를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업계 주장처럼 대형 IB의 기준선인 자기자본 3조원을 초대형 IB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힘들다는 의견이다.

◆초대형 IB가 뭐길래

업계가 초대형 IB 기준선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새롭게 부여되는 혜택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초대형 IB에 자기 어음발행을 허용할 방침이다. 건전성 규제 완화, 해외 진출시 외화 유동성 지원 등의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자금 조달도 용이해진다. 기존 증권사들은 환매조건부채권(RP) 등 단기상품으로만 자금을 조달해야 하지만 초대형 IB는 자기자본 200% 이내에서 자체적으로 어음을 찍어낼 수 있다. 만기 1년 이내 어음은 레버리지 규제도 적용받지 않는다.

이와 함께 ‘종합투자계좌(IMA)’ 업무도 가능해진다. IMA는 종금형 종합자산관리계좌(CMA)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종금형CMA의 운용자산은 할인어음, 국공채 등으로 제한된다. 하지만 IMA엔 투자 기간이 다양한 기업금융 자산을 담을 수 있다.

안상미 기자 saramin@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