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원순 기자 ] 중국 은행권의 부실대출이 최근 1년 새 51%나 급증했다고 한다. 중국 은행감독관리위원회의 공개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무수익대출은 총 1조2744억위안(약 236조원)에 달했다. 부실 비율도 1.67%로 1년 새 0.42%포인트 늘어났다. 외형만으로는 아직 특별하다고 보기 어렵고, 중국 금융계도 자체 관리가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부실의 증가 속도가 예사롭지 않다. 더구나 이 수치에 대한 외부 의구심도 좋은 조짐은 못 된다. 부실 채권이 실제로는 8.1%에 달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 금융계에선 ‘시한폭탄’이라는 비유까지 한다.
중국 은행의 부실 실상을 외부에서 알기는 쉽지 않다. 어쩌면 감독당국조차 정확한 규모를 모르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 성장률만 해도 중앙정부는 6.9%라고 발표했으나 31개 성(省)·시(市)의 통계를 인용한 환구시보는 7.97%라고 했다. 월가에서는 3.5%라는 분석도 있었다. 우리가 주목할 것도 수치보다 부실의 급증세다. 철강 조선 등을 위시해 공급과잉에 따른 중국 기업의 부실이 심각하다는 소식도 한두 번이 아니었다. 부동산은 더했다. 미분양주택이 넘쳐 2억명 이상이 들어갈 새 집이 비어 있다는 분석이 단적인 예다. 각종 개발사업으로 지방 재정도 뇌관이라는 분석도 있다.
유휴 설비와 부동산이 넘치면 은행 부실은 필연적이다. 헤지펀드들이 위안화 가치하락에 베팅하면서 대공세에 나선 것도 결국은 중국 비관론에 입각한 것이다. 이로 인해 1년7개월 전 3조9932억달러에 달하던 외환보유액이 지난달 말 3조2300억달러로 급감했다. 하지만 이 싸움도 결말은 예측불가다. 관건은 산업·금융 구조조정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의지다. 구조개혁의 고통을 감내하는 용기와 충격흡수 노하우가 핵심이다. 사태전개에 따라 우리 경제에 미칠 충격파가 작지 않을 것이다. 올초엔 상하이증시 급락만으로도 세계 금융시장이 흔들렸다. 금융의 충격파가 실물로 전이될 때가 더 문제다. 부실채권은 한국 기업에도 즉각 전이될 가능성이 있다. 중국발(發) 지진이 다가온다.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