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를 희망으로 바꾼 나라들 (6·끝)
김윤태 KOTRA 런던무역관장이 본 영국 경쟁력
2008년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는 금융산업이 당시 국내총생산(GDP)의 13%에 달할 정도로 금융에 높은 의존도를 보이던 영국 경제에 치명상을 입혔다. 금융중심지인 시티오브런던(City of London)에서 일하는 금융인 35만명 중 무려 30%가 하루아침에 일자리를 잃었다. 대형 은행들은 정부 구제금융으로 국유화돼 몸을 사리는 데 급급했다. 은행이 돈줄을 조이니 기업의 자금줄이 막혔고 이에 따라 생산이 줄어드는 악순환이 지속됐다.
금융위기의 정점인 2010년에 집권한 보수·자민당 연립정부는 재정적자를 줄이기 위해 2차 세계대전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삭감된 긴축재정 계획을 발표했다. 2014~2015회계연도 기준 영국 정부의 지출 감축 규모는 830억파운드에 이른다.
영국 정부는 긴축으로 확보된 재원의 10%에 달하는 90억파운드를 2013년 4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1년간 부동산 개발에 집중 투입했다. 영국 경기회복에 가장 큰 공을 세운 영국판 공유형 모기지 제도 ‘헬프투바이(Help to Buy)’가 그것이다. 영국 정부는 2013년 4월부터 영국에서 처음 집을 사는 사람에게 집값의 75%를 국고에서 지원하고 은행 모기지로 20%를 충당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제도를 도입한 영향으로 2013년에만 런던 지역 부동산 가격이 9% 올라 2005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건설부문 산업생산도 23%나 증가했다.
영국 정부는 수출이 살아야 장기적으로 영국 경제의 성장 모멘텀을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 그래서 제조업 분야에서 영국이 ‘미래 먹거리’로 활용할 수 있는 핵심 기술 및 산업에 공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전기차 및 친환경차 개발을 위해 전기자동차 구매 시 5000파운드를 국가에서 지원하는 제도를 2017년까지 유지하기로 하고, 연구개발비 명목으로 1억파운드의 예산을 신규 배정했다. 차세대 유망기술인 사물인터넷(IoT)을 위해 구글 등 다국적 기업과 3억파운드 규모의 민관협력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협력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해 2014년부터 2020년까지 1억파운드의 예산을 지원하기로 하고 프로그램을 가동 중이다.
kimyt@kotr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