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카페
교과서 국정화 편가르기, 상대 인정않는 노사분규와 닮아
타인의 생각 존중 선행돼야 존재의 인정으로 이어져
중국이 지난달 북한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식에 류윈산 공산당 상무위원(서열 5위)을 보내며 북한을 포용했다. 일본은 위안부 문제에 대해 반성하기는커녕 평화헌법을 개정해 군국주의 시대로 돌아가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벌어지는 과거사 관련 분쟁에서 더는 한국 편을 들지 않는 분위기다. 미국은 한반도에서 긴장 조성과 유화책 제시를 반복하는 북한을 효과적으로 다루지도 못하고 있다.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가 한국 뜻대로 움직이지 않는 모습이다.
국내 문제도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다. 한국 사회는 역사 교과서 국정화 문제를 놓고 편 가르기가 한창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올바른 역사관을 갖고 나라의 미래를 열어가도록 하는 것은 자라나는 세대에 필연적으로 해줘야 할 사명”이라며 교과서 국정화 문제를 제기했다.
정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 노력에 대해 각계각층 사람들은 옹호 혹은 반대 의견을 내놓고 있다. 교육 현장에 몸담고 있는 교수와 교사는 물론 시민 단체들도 각자 입장을 주장하며 목청을 높이고 있다.
국정교과서를 옹호하는 측은 “지금의 검인정 역사 교과서가 좌편향됐기 때문에 국정화를 통해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반대하는 측은 “국정화 시도는 민주주의 기본원칙에 위배되며, 국정화를 계기로 우편향된 역사 교육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한다. 한국 정가의 관심은 온통 국정화교과서 문제에 쏠려 있는 듯하다.
어수선한 국제 정세를 슬기롭게 헤쳐 나가고, 경제 회복에 총력을 기울여도 모자랄 판에 역사 교과서 국정화 논쟁으로 분열된 현 상황은 안타깝기만 하다. 수출이 줄고 청년 실업이 높아져만 가는 어려운 시점에 왜 국정교과서 문제가 국정의 최우선이 돼야 하는가.
여야 할 것 없이 이 문제에 사활을 걸었다. 승리 아니면 패배로 편을 가르고 있다. 상대방이 백기 투항해야 자신의 주장이 옳다는 사실이 증명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이런 일은 정치판에서만 벌어지는 게 아니다. 경영 현장에서도 상대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노사 분규를 예로 들어보자. 노사 관계는 노조와 회사라는 독립적인 주체가 존재한다. 양 주체들이 서로를 인정할 때 대화와 타협이 시작된다.
과연 한국의 노사가 상대를 인정할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다. 싸워서 반드시 이겨야 하는 상대로 규정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다. 싸워서 이긴다는 것은 한쪽의 패배가 있어야 가능한 논리다. 패배는 복수심을 낳기도 한다. 잠재된 복수심은 언젠가 상대의 존재를 무력화시킬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대방을 인정하는 태도는 상사와 직원 사이에서도 중요하다. 상사와 직원 간 갈등은 회 瀯煇걋?하는 과정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만큼 해소되지 않고 누적되기 쉽다.
쌓인 갈등은 소통의 단절로 이어진다. 원활한 소통이 없는 조직의 생산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조직 성과가 떨어지면 상사와 직원 사이에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 높아진다. 상사와 직원 사이의 갈등이 조직의 생산성 악화로 이어지는 악순환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적지 않은 경영자나 상사가 직원들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아주 가볍게 받아들인다.
경영자나 상사들은 직원들에게 “생각은 내가 하니 너는 시키는 대로만 하라”고 강요하기도 한다. 이런 생각은 상대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 데에서 발생한다.
소통이나 동기 부여는 상대방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다른 사람의 생각을 존중하는 태도가 선행돼야 다른 사람의 존재를 인정할 수 있다. 생각의 존중은 존재의 인정으로 이어진다. 그것이 조직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가장 빠른 길이며, 갈등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박기찬 < IGM세계경영연구원 교수 >
[인터뷰] 가치투자의 달인, "휘열" 초보개미 탈출비법 공개
[한경닷컴 바로가기] [중국자유무역지구(FTZ)포럼]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