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리포트
한국 내수 10배…소매판매 두자릿수 성장
수출 둔화 가능성…반도체·자동차 부품 등 공략 필요
[ 김태완 기자 ]
한국이 수출 정체 국면에서 벗어나려면 중국 내수시장 공략을 돌파구로 삼아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중국의 내수시장 규모는 지난해 약 4조3000억달러로 단일 국가로는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다. 한국 내수시장에 비하면 10배나 크다.
성장속도도 빠르다. 중국의 소매판매 총액은 지난 8월 전년 동기 대비 10.8% 증가하는 등 올 들어 두 자릿수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경제가 수출 부진과 투자 둔화 등으로 7% 성장이 위협받고 있지만 내수시장은 비교적 탄탄한 성장을 하고 있다는 얘기다.
대중국 수출 대부분 중간재
중국은 이미 한국의 최대 시장이다. 지난해 한국 수출 총액의 26%가 중국에서 나왔다. 그래서 일부에서는 중국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다는 우려를 내놓기도 한다. 그러나 중국 내수시장으로 눈을 돌리면 상황은 크게 다르다. 국제무역연구원에 따르면 한국의 대중 수출품 중 중간재 비중은 73%에 달한다. 반면 소비재 비중은 7%에 불과하다. 중간재의 상 ?부분은 가공무역에 사용된다. 즉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수입해 수출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에 비해 현지 기업이나 글로벌 기업들의 내수 판매용에 들어가는 비중이 늘었겠지만 규모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가공무역은 쇠퇴하는 분위기다. 중국 정부는 2000년대 들어 가공무역 금지 품목을 확대하고 수출 부가가치 환급률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가공무역을 억누르고 있다. 중국 내 인건비 등 각종 비용의 상승으로 가공무역 거점으로서의 매력도 떨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중국의 전체 무역에서 가공무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8년 53.7%에서 지난해 32.8%로 떨어졌다.
반면 내수용 무역시장은 빠르게 성장 중이고 이미 규모도 커졌다. 중국의 내수용 수입액은 2011년부터 1조달러를 넘었다. 전체 수입액 중 내수용 수입 비중도 절반이 넘는 57%나 된다. 중국 수입시장에서 1위 국가는 한국이다. 한국의 대중 수출은 2014년 1901억달러로 일본(1625억달러) 미국(1530억달러)보다 많다. 그러나 중국 내수용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수출은 635억달러로 미국(906억달러) 일본(837억달러) 독일(819억달러) 호주(814억달러)에 이어 5위에 그치고 있다. 이봉걸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 제조업의 위축, 중국 기업의 기술 경쟁력 향상에 따른 자급률 증가 등으로 앞으로 당분간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둔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수출 부진을 타개하려면 보다 적극적으로 중국 내수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중 FTA 발효 서둘러야
지난해 중국 소비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시장 점유율은 6.7%로 일본(10.7%) 이탈리아(10.6%) 미국(10.3%) 독일(9.0%) 등에 뒤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보다 0.1%포인트 상승한 것이지만 2007년 11.5%의 점유율을 차지했던 것에 비하면 크게 떨어진 수치다.
한국 기업들은 그동안 중국 내에서 전자 철강 자동차 기계 화학 등의 분야에서 눈부신 성장을 해왔다. 삼성전자가 휴대폰, LG전자가 에어컨 등 가전, 두산인프라코어가 굴삭기 등에서 한때 중국 내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현대·기아차동차의 중국 내 합작법인인 현대베이징자동차와 둥펑위에다기아차는 중국 자동차시장에서 3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일제히 성장세가 꺾이면서 중국 기업에 고전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중국 내 수입이 증가하고 있는 새로운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무역협회는 최근 보고서에서 이런 분야로 반도체 자동차부품 축전지 카메라모듈 주물기계 비알코올음료 보일러 공기정화기 등을 꼽았다.
중국에 대한 수출을 늘리기 위해서는 중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발효도 서둘러야 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한·중 FTA가 발효되면 관세 철폐, 양국 간 투자 확대 등으로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이 5년 후 1.0~1.3%, 10년 후 2.3~3.0%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한·중 FTA는 지난해 11월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실질적 타결을 선언했으며 지난 6월 정부 간 정식 서명을 마쳤다. 그러나 마지막 절차인 국회 비준 동의안이 여야의 이견으로 진통을 겪고 있어 연내 발효 여부가 불투명하다.
김태완 기자 twkim@hankyung.com
[이슈] 40호가 창 보면서 거래하는 기술 특허출원! 수익확률 대폭상승
[무료선착순_한경 가치투자 강연회] 이채원.최준철.이상진 출연 (11.6_여의도 한국거래소)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