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한국 국가신용등급 ‘AA-’로 한단계 올려…일본보다 높아진 국가신용
◆국가신용등급
국제신용평가회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15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3년 만에 ‘A+’에서 ‘AA-’로 상향 조정했다. 한국은 처음으로 무디스와 피치 S&P 등 세계 3대 신용평가회사로부터 모두 ‘AA-’ 등급을 받게 됐다. 이날 S&P가 매긴 ‘AA-’는 일본의 신용등급과 같다.
- 9월16일 한국경제신문
☞ 세계적인 신용평가회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에서 ‘AA-’로 한 단계 올렸다. 세계 최고 수준의 신용등급이다. 맨 위인 AAA(트리플 A)보다는 3단계 낮은 것으로, AA-급 이상을 받은 국가는 세계에서 22개국에 불과하다. 우리 경제가 별로 좋지 않은데도 어떻게 국가신용등급이 오른 걸까? 신용등급이란 뭐고 어떤 기준으로 평가하는지 알아보자.
신용등급은 채권의 원금과 이자를 약속한 대로 갚을 능력이 있는지를 표시하는 부호다. 신용평가회사가 국가나 기업, 금융회사, 개인 등을 대상으로 조사해 매긴다. 어떤 신용등급을 받느냐는 채무상환능력이 핵심이다. 기업의 경우 경영관리위험, 산업위험, 사업 및 영업위험, 재무위험, 계열위험 등을 따진다. 국가는 성장률, 정부부채, 재정적자 등 경제적 요인 외에 정치적 리스크도 평가기준이 된다.
신용평가회사(신평사)는 각 경제주체들의 신용 상태를 전문적으로 평가해 등급을 부여하고 이를 공표하는 회사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3대 신평사로는 S&P와 무디스(Moody’s), 그리고 피치(Fitch)가 꼽힌다. 국내에서도 NICE신용평가(NICE), 한국신용평가(KIS), 한국기업평가(KR) 등 3대 신평사가 있다.
신용등급은 평가회사마다 다르지만 대략 20여단계로 나뉜다. S&P의 경우 가장 높은 등급이 AAA(트리플 A)이고, AA+, AA, AA-, A+, A, A-, BBB+, BBB, BBB-, BB+,BB, BB-, B+, B, B-, CCC+, CCC, CCC-, CC, D 등 21단계다. 무디스는 Aaa, Aa1, Aa2, Aa3, A1, A2, A3, Baa1, Baa2, Baa3, Ba1 등으로 표기한다. 이 가운데 BBB-(Baa3) 이상 등급이 투자적격등급, 그 아래는 투자부적격등급(투기등급)으로 분류된다.
신평사들은 또 기업이나 나라의 신용등급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이란 전망 자료도 발표한다. ‘긍정적(Positive)’은 향후 신용등급이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이며, ‘안정적(Stable)’은 당분간 현재의 신용등급이 바뀌지 않을 것이란 뜻이다. 반면 ‘부정적(Negative)’은 신용등급을 낮출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우리 경제 상황이 별로 좋지 않은데도 이번에 S&P가 신용등급을 올리고 신용등급전망도 ‘안정적’으로 평가한 이유는 뭘까? 첫째는 탄탄한 성장세다. S&P는 한국이 앞으로 3~5년간 연 3% 실질 성장을 이뤄 2018년 1인당 평균소득(GDP 기준)이 3만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S&P는 “한국 경제는 특정 수출시장 또는 산업에 의존하지 않는 다변화된 구조를 지니고 있다”며 “올해 수출이 부진하지만 다른 국가와 비교하면 수출 하락폭이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또 하나는 나라살림(재정상황)이 아직까지 비교적 건실하다는 점이다. S&P는 통합재정수지가 2000년 이후 대체로 흑자를 나타난 데다 순(純)정부부채도 2015년 기준 GDP의 20%를 소폭 넘어서는 양호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내년 정부 누적빚(국가채무)이 GDP의 40%를 돌파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는 국내의 인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한국의 대외건전성 또한 높게 평가했다. S&P는 한국을 순채권국이라고 강조하면서 순채권금액은 올해 경상계정수입의 21%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추산했다.
무디스와 피치에 이어 S&P도 신용등급을 올림으로써 한국이 명실상부하게 일본의 신용등급을 앞서게 됐다. S&P는 일본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무디스와 피치의 평가에서 한국은 ‘AA-’로 ‘A+’인 일본보다 한 단계 앞서고 있다. 이번 등급 상향조정으로 한·중·일 3개국 중 한국 신용등급 평균이 가장 높아지게 됐다. 2014년 이후 S&P로부터 ‘AA-’ 이상 등급으로 상향 조정된 국가도 우리나라가 처음이다.
국가신용등급이 올라가면 세계에서 대한민국의 신뢰도가 그만큼 높아지게 된다. 정부나 기업들이 해외에서 돈을 빌릴 때도 좀 더 싼 이자로 빌릴 수 있다.
---------------------------------------------------------
계좌이동제 내달 30일 시작…공과금 등 자동이체 계좌 쉽게 옮길 수 있게 돼
◆계좌이동제와 자동이체시장
주거래 은행 계좌를 손쉽게 옮길 수 있는 계좌이동제가 내달 30일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된다. 계좌이동제는 주거래 계좌를 다른 은행으로 옮길 때 기존 계좌에 등록된 여러 자동이체 건을 신규 계좌로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것이다. 은행으로서는 주거래 계좌 고객을 얼마나 새로 확보하고 기존 고객을 잘 지키는지에 따라 연간 800조원대로 추산되는 자동이체 시장의 파이가 결정되는 셈이다.
- 9월13일 연합뉴스
☞ 인터넷 전문은행 허용,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와 IFA(독립투자자문업자)의 도입 등으로 금융산업의 지각변동에 예고된 상황에서 10월 말부터 시행되는 계좌이동제도 금융회사 간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경쟁이 격화되면 해당 금융회사 임직원들로선 힘이 들겠지만 소비자로선 혜택이 더 많아지게 된다.
계좌이동제는 말 그대로 기존 주거래 은행 계좌를 다른 은행으로 옮기면 기존 계좌에 연결돼 있던 각종 이체 항목을 자동으로 일괄 이전하는 제도다. 계좌이동제가 시행되면 금융결제원의 자동이체 통합관리 시스템인 ‘페이인포(www.payinfo.or.kr)’에서 통신사 요금, 카드 요금, 아파트관리비 등의 납부 계좌를 변경된 주거래 은행 계좌로 손쉽게 바꿀 수 있다. 신규 계좌로 변경 신청하면 5영업일 이내(신청일 제외)에 바뀐다. 은행들이 주거래 고객을 뺏기지 않기 위해 금리나 수수료 등 혜택을 늘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금융소비자의 편익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국민은행 신한은행 등 시중은행과 특수은행, 주요 지방은행 등 모두 16개 은행이 내달 말부터 시행한다. 전국 은행지점이나 각 은행 인터넷 사이트에서 계좌를 변경하는 것은 내년 2월부터 가능하다. 금융결제원 관계자는 “서비스가 안정화된 다음에 증권사, 저축은행 등 나머지 금융회사도 참여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자동이체 건수는 26억1000만건에 금액은 799조8000억원에 달한다. 국민 1인당 월평균 이체건수는 8건이다. 건당 평균 이체 금액은 31만원으로 추정된다.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자동이체 등록이 가능한 수시입출금식 예금 잔액은 419조원이다. 계좌 수는 2억개이고 이 가운데 개인 계좌가 1억9000만개(97.1%)다. 월평균 예금잔액이 30만원 이상인 활동성 계좌 수는 6000만개(31.7%) 정도로 추정된다.
주요 은행들은 계좌이동제 시행에 대비해 특화상품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주거래 통장, 예·적금·대출 기능 등을 묶은 패키지 형태가 대부분이다. KB국민은행은 지난 7월 말 통장·카드·적금·대출을 묶은 ‘KB국민ONE라이프 컬렉션’을 선보여 흥행에 성공했다. ‘KB국민ONE통장’은 출시 두 달 만에 17만5196계좌를 돌파했고, 판매 잔액은 4058억원으로 불어났다. KEB하나은행도 정기예적금, 주거래 통장, 중소기업대출 기능 등을 포괄하는 ‘행복투게더 패키지’를 출시하고 고객 확보에 나섰다.
우리은행은 지난달 19일 예금과 적금 상품의 장점을 결합한 ‘우리 주거래 예금’을 출시했다.
이제 우리 금융산업도 본격적인 재편기에 돌입했다. 새로운 서비스의 도입이 금융산업의 경쟁력과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강현철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hckang@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