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쿄=서정환 기자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지난 14일 발표한 ‘전후 70년 담화(아베 담화)’에 대해 한국과 중국 정부의 비판수위가 예상보다 높지 않았다고 일본 언론들이 보도했다. 이에 따라 한·중·일 관계가 개선의 물살을 탈 수 있을 것이란 조심스런 전망도 내놓고 있다.
아사히신문은 한국 정부가 외교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이번 담화에서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이 앞으로도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점에 대해서는 주목한다. 일본 정부가 어떻게 구체적인 행동으로 실천해나갈 것인지를 지켜보고자 한다”고 한 것에 대해 “(한국 정부가)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관계를 끊을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위안부 문제의 조기 해결을 포함해 일본에 ‘성의 있는 행동’을 요구하면서 관계 개선 가능성을 열어두는 길을 선택했다”고 해석했다. 이 신문은 또 “일본의 구체적인 행동을 지켜봐야 하지만 한·중·일 정상회담을 연내 열고 그때 첫 한·일 정상회담 개최를 목표로 하는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는 한국 정부 관계자의 발언을 전했다.
요미우리신문도 박근혜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를 인용하며 “한국 정부가 싸늘해진 한·일 관계의 개선을 도모하려 하고 있다”며 “한국 정부가 조기 개최를 목표로 하는 한·중·일 정상회담에 맞춰 한·일 정상회담의 실현을 모색해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정부의 반응에 대해서도 아사히신문은 “‘강렬한 불만’ 등 강한 어조의 비판적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중·일 관계 전체에 영향을 주지 않으려고 자제하는 반응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중국 측이 엄중한 입장을 전달하긴 했지만 ‘항의’라는 표현을 쓰지 않은 점에 주목했다. 일본 정부 관계자도 아사히신문에 “베이징과 서울에서 비교적 억제된 메시지가 나왔다”며 “거센 반발이 없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면 (향후 3국 관계가) 전향적으로 움직이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아베 담화에 대해 한국·중국과 달리 미국과 영국, 필리핀 정부는 환영하는 성명을 냈다. 하지만 뉴욕타임스는 “아베 자신의 새로운 사과는 보이지 않았다”고 논평했고, 파이낸셜타임스는 “영원히 사죄를 계속할 생각이 없다는 점을 암시했다”고 지적했다.
도쿄=서정환 특파원 ceo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