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이 7월에도 뒷걸음질쳤다. 수출액은 전년 동월보다 또 3.3% 줄어 7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반도체와 철강을 제외한 자동차 석유화학 기계 등 주력 품목 수출이 중국 미국 아세안 등 주요 시장에서 모두 부진했던 탓이다. 특히 하루평균 수출액은 18억6000만달러로 떨어져 2013년 7월(18억3000만달러) 이후 2년 만의 최저수준이었다. 수출물량이 6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증가하긴 했지만, 일회성인 선박 수출액이 57%나 급증했던 점을 감안하면 큰 의미가 없다. 오히려 수출단가 급락으로 단시일 내에 수출 회복이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여기에 수입액이 수출액보다 훨씬 더 큰 폭으로 줄고 있어 올해 교역규모가 5년 만에 다시 1조달러 밑으로 추락할 것이란 비관적인 전망이 나온다.
물론 수출이 안 되는 게 한국만은 아니다. 올 5월까지 세계 10대 수출국가의 수출이 모두 마이너스였고, 이 중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네덜란드 등의 수출 감소율은 한국보다 더 컸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그래도 선방한 셈이라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주장에도 일리는 있다. WTO의 통계를 보면 같은 기간 세계 수출규모는 11.3%, 교역규모는 12.6%나 줄어든 상황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국 수출의 앞이 보이지 않는 것도 엄연한 현실이다. 중국 성장률 둔화 등 어쩔 수 없는 외부 악재들을 거론하지만, 문제는 나아질 구석이 없다는 것이다. 경제를 살리자면서 산업 구조조정도 없 ? 고비용 생산구조를 타파하기 위한 노동개혁이나 규제개혁도 없다.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가 수출기업을 응원하는 것도 아니다. 한국은행의 8월 제조업 업황 전망 BSI가 다소 좋아졌다는 게 고작 70으로 기준(100)에 훨씬 못 미쳤고, 전국경제인연합회의 8월 종합경기 역시 90에도 미달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올해 3% 성장조차 물 건너가 2%대 중반만 가도 다행이라는 소리가 나오고 있다. 수출이 살아나지 않는데 경기가 살아날 리 없다. 정부와 국회는 기업의 목소리부터 들어보라. 도처에서 위기를 알리는 경고음이 점점 커진다.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