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정부가 세계 공영방송의 대명사 BBC를 개혁의 수술대에 올렸다는 소식이다. 캐머런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과감한 재정개혁의 일환이라고 한다. 존 위팅데일 영국 문화장관은 최근 의회에 출석해 지난 10년간 BBC의 조직과 규모가 엄청나게 비대해졌다며 미래를 위한 개혁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모든 사람에게 모든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는 공영방송의 철칙이 지금 시대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며 유료방송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BBC 스스로도 구조개혁에 나서고 있다. 1000명의 인력을 감원하고 청소년 채널 등 일부 채널을 폐지했다. 지원부서를 통폐합하는 등 조직을 슬림화해 연간 5000만파운드의 비용을 절감할 계획이라고 한다. 물론 BBC만이 아니다. 일본이나 프랑스 등 다른 국가들의 공영방송도 고강도 개혁을 시행했거나 추진하고 있다.
KBS 수신료 인상이 다시 들먹거리고 있는 모양이다. 지난달 초 KBS 사장이 기자회견에서 수신료 인상을 강조했고 지난달 말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 법안심사소위엔 수신료 인상안이 상정됐다고 한다. 하지만 KBS를 바라보는 국민 시선은 편치 않다. 이승만 전 대통령이 6·25전쟁 발발 직후인 6월27일 일본 망명을 타진했다는 조작된 보도를 스스럼없이 내보내고 있는 것이 공영방송 KBS의 진면목이다. 지난해엔 문창극 총리후보자에 대한 편향방송을 줄기차게 내보내 국민 위에 KBS가 있다는 지적까지 들 駭? 극단적 막장드라마나 유치한 예능프로그램으로 국민 수준만 떨어뜨리고 있다. 방만경영도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단순히 시청료 인상이나 구조개혁에 대한 문제가 아니다. KBS 존립 이유나 정체성에 대해 기본적으로 회의를 갖고 있는 게 국민 심정일 것이다. 전 국민이 사실상 준조세 성격인 수신료까지 내야 하는지는 의문이다. 떼어낼 부분은 과감히 떼어내 민영화하고, 노조의 간섭을 완전히 배제하며, 공영방송의 정체성을 체득한 임직원만 KBS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일대 조직혁신이 따라야 마땅하다.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