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를 기치로 내건 박근혜 정부가 전국에 세우는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이번 주 인천센터를 끝으로 완성된다고 한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기자간담회에서 “지금까지 (창조경제혁신센터라는) 집을 지었다면 앞으로는 살 만한 집이 되도록 가치를 채우는 일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기업가치 1조원 기업이 탄생할 수 있도록 혁신센터를 통해 다각적으로 지원하겠다”고도 했다.
그러나 정작 현장에서는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뿌리를 내릴 수 있을지 우려하는 시선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전국에 들어선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일각의 회의감이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정부가 주요 지자체별로 대기업과 연결해 추진하는 전략을 세우면서부터 급물살을 탔다. 대기업들은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하나씩 떠맡으며 유·무형의 지원을 쏟아냈다. 그러나 정권이 끝난 뒤에도 지금의 창조경제혁신센터가 계속 유지될지는 아무도 확신하지 못하는 분위기다.
창조경제혁신센터의 고유한 정체성 확보도 문제다. 최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장들과 연 간담회 자리에서 “유관기관의 업무 범위가 서로 중복되는 경우가 많다” “지역 내 혁신주체들의 참여나 협력이 아직 원활하지 않다” “센터가 어떤 차별성을 가져야 하는지 고민이다” 등 걱 ㅐ?적지 않았다고 한다. 정권마다 지역에 세워놓은 지원센터들이 넘치는 탓이다. 창업보육센터, 테크노파크, 특화센터, 혁신센터, 혁신클러스터, 연구개발특구에다 대학, 정부출연연구소 등에 설치된 지원센터까지 합치면 3000곳이 훌쩍 넘을 것이라는 추정도 있다.
최 장관은 지금까지 집을 지었다고 하지만 뚜렷한 목적도 없이 집부터 지으려 하니 이런 일이 생기는지도 모른다. 무언가 새로운 상표를 내놓기보다는 꾸준히 이어가는 정신이 필요하다. 허름하기 짝이 없는 창고에서 시작한 혁신이 오늘의 실리콘밸리를 일궜다.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또 하나의 전시물로 전락하지 않도록 지금부터의 육성이 중요하다.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